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사회학 : 학력상승이론 (학습욕구이론, 기술기능이론, 지위경쟁이론, 신마르크스이론, 국민통합론)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9.

 

학습욕구이론

기술기능이론

지위경쟁이론

신마르크스이론

국민통합론

 

 

 

1. 학습욕구이론

    • 학력상승의 원인은 학교교육을 통하여 지적욕구어ㅏ 인격도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회가 주어지면 누구나 학교교육을 받게 된다.

    • 하지만 학교교육이 학습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관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다.

    • 사겨육제도가 성장하고 있다는 것과 대비적이다.

 

2. 기술기능이론

    • 과학기술의 부단한 향상 때문에 직업기술의 수준티 계속 높아지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학력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 하지만 과잉학력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 학력유턴현상을 설명하기 어려움

 

3. 지위경쟁이론

    • 학력의 정도는 사회적 지위획득의 수단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경쟁적으로 높은 학력을 취득하려 하고 그 때문에 학력은 계속하여 높아진다.

    • 졸업장병 : 고학력의 경쟁은 계속적이고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이런 현상을 졸업장병이라 부른다.

    • 학력경쟁의 실제 상황에 매우 근접한 이론이다.

    • 하지만 교육의 확대를 경쟁의 결과로만 파악하여 교육의 확대현상을 나쁜 이유로 과장하였다.

    • 학력팽창의 원인을 교육수요자에게 전가하고 있으며 공급자의 관점을 고려하지 않았다.

    • 수 많은 대학의 존재.. 수준 낮은 교육을 제공하면서 졸업장만을 제공하는 현 우리나라 현실을 비판할 수 없다 이이론은....

 

4. 신마르크스이론

    • 교육제도는 자본가계급의 이익을 위하여 자본가계급에 의해 발전하게 된다.

    • 즉, 자본가계급은 능력있는 하위직원을 원하고 능력있는 직원은 그들의 경제적 이익에 많은도움을 주기 때문에 자본가계급은 의도적으로 학력상승을 부추긴다.

    • 현재 비정규직원을 채용하면서도 많은 능력을 바라는 회사의 경우를 설명 가능하겠네

    • 하지만, 교육에 대한 학습자 자신에 대한 이익을 도외시하고 자본거계급의 이익만을 위한 것으로 단정짓고있다.

 

 

 

5.국민통합론

    • 국가가학력 높은 국민을 필요로 하고, 국민 통합을 필여로 하기 때문에 국가의 의도에 의하여 교육은 팽창되었다고 설명한다.

    • 의무교육의 확대는 국가의 의도하여 국민통합을 위해서 이루어 진다고 주장.

    • 문데점은 고등교육의 팽창이나 과잉학력을 설명하지 못한다. 국가에서는 넘쳐나는 고등인재만을 원하는것은 아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