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사회학 : 갈등주의와 교육, 갈등이론 (경제적 재상산, 문화적 재생산, 문화적 헤게모니론)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9.
  • 이념적 기구로서의 학교
  • 갈등주의와 교육
  • 갈등주의 이론 : 1) 경제적 재생산이론, 2) 문화적 재생산이론, 3) 문화적 헤게모니론

1. 이념적 기구로서의 학교

  • 학교교육은 우수한 노동력을 재생산한다.

  • 학교는 사회계급구조를 유지해 준다.

  • 이념적 기구로서의 학교의 기능은 인간의 의식조정의 장치이다.

  • 이데올로기는 지배와 종속의 계급관계를 은폐하고 위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학교는 가장 중여한 재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기구이다.

 

 

2. 갈등주의 교육관

  • 학교는 기존의 질서를 재생산함으로써 사회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기관이다.

  • 학교는 인간을 강요하고, 억압함으로써 타율적이고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시킨다.

  • 학교는 지적 기술보다는 지배 계층이 선호하는 가치관, 규범, 태도를 은밀히 강조한다.

  • 학교에사 행하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는 외형상 공정하게 보이나, 피지배계층의 아동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키고, 지재 질서의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위장된 이념이다.

  •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식은 특수 사회계층의 영향력을 받고 있다.

 

 

3. 갈등주의 관련 이론

 

     1) 경제적 재상산 이론

    • 학교가 학교 내의 사회관계를 자본두의 경제 구조의 사회관계와 일치시킴으로써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재생산한다.

    • 학교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경제적 불평등을 정당화, 합법화함으로써 지배계급의 위치를 재생산한다.

 

     2) 문화적 재생산이론 (Bourdieu)

    • 현존하는 문화적 형태, 가치, 관념의 영속화를 말한다. 부르디외(Bourdieu)에게 있어서 문화적 재상산은 지배계급이 그들의 지속적인 지배를 보장하기 위하여 자신의 문화를 재생산하고 영속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기존의 사회질서는 강제의 결과가 아닌 상징적 폭력의 표현이다.

    • 아비투스적 문화자본, 객관적인 문화자본, 제도화된 문화자본

 

 

     3) 문화적 헤게모니이론 (Apple)

 

  • 헤게모니 : 지배계층의 문화는 보편적으로 보며, 계층의 질서는 대중의 합의를 통해서 실행된다고 믿게하는 힘

  • 학교는 지배 집단의 의미체계와 가치(문화, 이념적)를 가르치며 이를 보존하고 전달하여 사회 통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 학교가 다루는 지식, 가치규범이 교육과정 깊숙히 잠재되어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한다.

  • 학교는 자본축적의 과정을 정당화하는 국가의 무기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