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사회학 : 기능주의 사회학이론과 비판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9.
  • 기능주의와 교육관
  • 기능주의 사회학 관련 이론 : 1) 근대화이론, 2) 인간자본론
  • 인간자본론의 비판 : 1) 선발가설이론, 2) 이중노동시장론, 3) 급진적접근
  • 기능주의 관련 학자

 

1. 기능주의와 교육

  • 학교는 개인의 재능과 노력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하며, 아울러 정당한 사회적보상이 주어진다.

  • 학교는 사회가 요구하는 기술, 지식, 공동체의식을 전수하며 구조적 모순을 해결해주고, 사회의 평등화를 도모한다.

  • 지식은 객관적으로 정당화된 것이고, 학교는 지식을 가르치는 전수의 장이다.

 

 

2. 기능주의 관련 이론

 

     1) 근대화이론

 

     2) 인간자본론

    • 교육투자를 통해 인간의 가치는 증가한다.

    • 인간자본의 투자는 개인적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급속한 경제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노동력의 기초를 형성한다.

 

 

3. 인간자본론의 비판

 

     1) 선발가설이론

    •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의 임금이 더 높은 이유는 노동생산성이 높아서가 아니라, 기업주들이 고학력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2) 이중노동시장이론

    • 노동시장은 인간자본에 따르는 1차시장과, 인간자번에 따르지 않는 2차시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 2차 시장은 능력이 있어도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3) 급진적 접근

    • 자본주의 사회에서 교육은 자본가 계급의 이익에 종사하는 도구에 불과하다.

 

 

4. 기능주의 관련학자

    • 뒤르케임(Durkheim) , 파슨스(Parsons) , 드리븐(Driven)

    • 파슨스 : 적응, 목표달성, 통합, 체제유지

    • 드리븐 : 독립심, 성취성, 보편성, 특수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