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생리학5

운동 생리학 : 골격근 정리 신체는 400개의 수의적인 골격근을 갖고 있으며 이는 체중의 40~50%를 차지한다. 골격근의 세가지 주요기능은 1) 운동과 호흡을 위한 근수축, 2)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근수축, 3) 체온유지를 위한 열생산이다. 각각의 근섬유는 근원섬유라는 수백 개의 단백질 세사로 구성되어 있다. 근원섬유는 2개의 수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1)얇은세사 부분인 액틴과, 2) 굵은 세사 부분인 마이오신이다. 운동신경은 척수에서 뻗어 나와 각각의 근섬유에 연결되어 있다. 운동신경과 근세포가 만나는 지점을 근신경연접이라 하고 아세틸콜린은 신경전달물질로서 근섬유를 탈분극시키며 이를 신호로 하여 근수축 과정이 시작된다. 지금까지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골격근 수축과정은 액틴이 미오신 위로 움직여 근육길이가 짧아진다는 가설을.. 2021. 1. 22.
운동생리학 : 운동과 혈압/혈류, 트레이닝과 침상안정 운동과 혈압, 혈류 트레이닝과 침상안정의 영향 1. 운동과 혈압, 혈류 혈압 = 심박출량 * 말초저항 맥압 :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 심장은 수축기보다 이완기가 더 길기 때문에 평균동맥압은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치보다 약간 낮다. 96mmHg 정도 되며, 이는 전체 심장주기 동안에 동맥벽에 미치는 평균적인 힘을 나타낸다. 평균동맥압 = 이완기혈압 + 1/3 맥압 말초저항 : 혈액이 세동맥을 통과할 때 받는 저항 말초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 동맥계의 길이 2) 혈액의 점성 3) 정수압 4) 혈관의 반경 등 교감신경계에서 분비되는 카테콜라민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부교감신경계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은 혈관확장을 촉진시킨다. 운동중에는 활동근의 조직에 분포한 세동맥의 말초저항이 .. 2020. 11. 2.
운동생리학 : 산성화 (수소이온의 생성) 체액의 pH 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사과정 중에 발생되는 수소이온이다. 이러한 산은 크게 휘발성산, 고정산, 유기산으로 분류된다. 1. 이산화탄소 (휘발성산) 탄,단,지 산화과정에서 생기는 최종부산물로서 기체로서 폐를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휘발성 산이라고 한다. 2. 황산과 인산 (고정산) 황산 : 아미노산의 산화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 인산 : 인지질이나 핵산의 산화에서 생기는 부산물. 고정산은 주로 식사에 영향을 받으며 운동에 의하여 생성되지는 않아, 힘든 운동 중 수소이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3. 젖산과 아세토아세트산 (유기산) 젖산 : 탄수화물의 대사과정에서 형성 아세토아세트산 : 지방의 대사과정에서 형성 유기산들은 안정시에 추가적인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므로.. 2020. 11. 2.
운동 생리학 : 관류 1) 관류? 우리 몸의 특정장기나 신체의 일부를 통과하는 혈액 등의 채액의 흐름 호흡에 따른 혈류량의 흐름 2) 관류 공식 관류 = 환기량 V / 혈류량 Q 관류의 비율은 0.8의 값을 가질 때 폐포의 산소교환이 가장 잘 이루어진다. 관류의 비율이 1 보다 크면 가스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관류의 비율이 1보다 작되 1과 가까워지면 가스교환이 잘 이루어진다. 즉, 환기량이 너무 많이 이루어지더라도 도움이 하나도 안된다는 소리지... 달리기를 할 때 숨을 너무 헐떡거리면 달리기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생각해 보면, 0.8 의 비율이 황금비율인 것 같기도... 2020. 11. 1.
운동생리학 : 목표심박수(THR) 계산 공식 (최대심박수/여유심박수) 최대심박수 공식을 사용한 계산 여유심박수 공식을 사용한 계산 1. 최대심박수를 사용한 공식 목표심박수 ( THR ) = 최대심박수 (MHR) * 운동강도% = ( 220 - 나이 ) * 운동강도% 2. 여유심박수를 사용한 공식 목표심박수 ( THR ) = RHR + (MHR - RHR) * 운동강도% = 안정시 + (최대심박수 - 안정시) * 운동강도% = 안정시 + [ ( 220 - 만나이 ) - 안정시 ] * 운동강도% 안정시 심박수 ( RHR ) 최대심박수 ( MHR% ) 여유심박수 ( HRR% ) 목표심박수 ( THR ) 최대심박수 : MHR = ( 220 - 만나이) 여유심박수 : HRR = MHR - RHR 2020. 1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