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Freire 의식화 교육론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6.
  • 왜곡된 사회구조를 반영하는 현행 제도교육으로는 인간성 회복을 보장하기 어렵다. 현존의 교육체지는 지배계급의 이익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불평등한 사회적 위계관계를 심화시키는데 공헌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민중은 그들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사회현실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자각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인간해방을 이루어야 한다.

 


 

1) 억압자 행동이론

    • 가부장주의, 지배문화의 이데올로기를 신화화하는 조작주의, 물화주의 등을 죽음을 긍정하는 정신으로 보았다.

    • 이러한 양산들은 분할, 조종, 지배, 문화침략, 정복으로 이루어진다.

 

2) 침묵문화

    • 지배 엘리트 행동이론에 입각하여 비인간화된 심리적 왜곡현상이 나타나는데 그 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자유에 대한 공포이가.

    • 자유에 대한 공포는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고 그 대신 억압자의 문화양식, 행동양식, 가치관을 자기 내부에 숙주로 모시고 그처럼 말하고 행동하고 생활하려 한다.

    • 자기자신을 잃어버린 존대로 전락한 것을 침묵문화라 한다.

 

3) 교육제도의 비인간화 기능

    • 현행 교육제고눈 억압적 사회구조가 빚어내는 비인간화 기능을 갖고있다.

    • 교사와 학생이라는 수직적 관계에서 전개되는 교육은 은행저금식 교육이다.

    • 텅빈 저금통장에 교사 지식이라는 돈을 저금하는식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이러한 수직적 질서는 억압적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재창조와 창조, 비판의식을 잠재워 억압적 질서의 일개 부품으로 만들어 낸다.

 

4) 문제제기식 교육

    • 은행저금식 교육에 비판한다.

    • 은행저금식 교육은 비인간적이며 비인간적인 질서를 지향한다.

    • 교육은 인간화 운동을 담당해야하며 인간화와 인간화시키는 질서를 지향해야 한다.

    • 교육행위란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어야 하며 방법, 기술과정 전체가 인간해방의 구현방법이어야 한다.

    • 즉, 교육을 통해서 반성과 실재를 변형시키는 행동 사이의 통일점을 갖아야 한다.

 

5) 비판적 문해교육

    • 단순한 문해교육은 단지 읽고 쓰는 능력만을 키워주며 자선적인 태도를 지닌다.

    • 문해교육은 이러한 자선적 태도를 경계하며 근본적으로 읽고 쓰는 능력발달과 더불어 그들의 비판의식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 그로서 교육 대상자들은 교육의 주체가 되며 세상을 비판적으로 인식할수 있게 된다.

    • 문제제기식 교육은 창의성에 토대를 두고 진정한 사고와 현실변화를 촉진시켜 인간이 그들이 살고 있는 세상이 어떻게 존재하는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힘을 소유하게 된다.

    • 변화를 지향하는, 열려있는, 가능성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