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학교조직의 특성 (이중조직, 이완조직, 조직화된 무질서, 전문적 관료조직)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6.
  • 이중조직
  • 이완조직
  • 조직화된 무질서조직
  • 전문적 관료조직

1) 이중조직

    • 학교는 느슨하게 결합된 측면도 있지만 엄격한 관료제적 특성도 지니고 있다.

    • 학교의 중심적인 활동인 수업의 경우 교장과 교사가 매우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학교는 수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관료제적 장치들을 가지고 있다. (관계)

    • 수업은 교사가 자율성과 책임감을 지니고 이루어지지만 수업시간 운영, 학급집단 구성,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 등에 대한 것은 대체로 엄격한 통제를 지니고 있다. (수업)

    • 특히 수업을 제외한 많은 학겨경영 활동들, 예컨데 인사관리, 학생관리, 시설관리, 재무관리, 사무관리 등에서는 교당과 교사가 보다 엄격한 결합을 맺고 있다.

    • 따라서 학교는 이중조직적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이해할 필요가 있다.

 

 

2) 이완조직

    • 연결된 각 사건이 서로 대응되는 동시에 각각 자체의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물리적. 논리적인 독립성울 갖고 있다.

    • 느슨한 결합

    •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한 조직에서 이질적인 요소들이 공존하는 것을 허용한다.

 

 

3) 조직화된 무질서조직

    • 불분명한 목표 : 교육조직의 목적은 구체적이지 못하고 분명하지 않다.

    • 불확실한 기술 : 교수기술은 불명확하고 구성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유동적 참여 : 참여는 매우 유동적이다. 학생은 일정시간이 지난 후 졸업하며, 교사와 행정가도 때때로 이동하고, 학부모와 지역사회 관계자도 필요시에만 참여한다.

 

 

4) 전문적 관료제

    • 높은 복잡성과 형식성, 낮은 집중성이 특성이며 외적 통제가 약하며 환경은 안정되어 있다. 전문적 관료제는 분권화와 표준화가 동시에 허용된 구조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