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평가 : 문항특성곡선 및 추측요인의 교정 (곤란도, 변별도, 문항반응분포)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1.
  • 추측요인의 교정
  • 문항의 곤란도
  • 문항의 변별도
  • 문항반응분포
  • 문항특성곡선

1. 추측요인의 교정

  • 선택형 검사에서는 추측해서 정답을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교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교정점수 = 교정 전의 정답수 - (오답의 수 / 각 문항의 답안수 - 1)

  • 예를들어 5지선다지 20문 100점 만점 중 16개 정답맞췄을 경우 교정점수는 16 - ( 4 / 5 - 1 ) = 15개 * 5점 으로 총 75점

 

2. 문항의 곤란도

  • 개별의 한 문항이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로서, 각 문항의 정답률을 토대로 산출한다

  • 공식은 일반적인 공식과 미달항과 추측요인을 제거한 공식 총 3가지 방법이 있다.

    • 1) 일반공식 : 곤란지수 = (정답자수 / 총 응답자수) * 100

    • 2) 공식2 : 곤란지수 = (정답자수 / 총응답자수 - 미달자수 )* 100

    • 3) 공식3 : 곤란지수 = (교정 정답자수 / 총 응답자수 - 미달자수) * 100

  • 예를들어 응답자수 100명, 정답자수 60명, 오답자수 40명, 미달자수 5명, 5지선다지 20분 100점만점이고, 나는 이 점수를 맞췄으며 총 16개 정답을 맞췄을 경우

    • 1) 공식1 에서의 곤란지수 = 60 / 100 * 100 임으로 60

    • 2) 공식2 에서의 곤란지수 = 60 / 100 - 5 * 100 임으로 61.224...

    • 3) 공식3 에서의 곤란지수 = 50 / 100 - 5 * 100 임으로 52.631...

  • 곤란도를 계산하여 쉬운문제 - 어려운문제의 배열에 이용한다.

  • 교수민감도 = 교수후 곤란도지수 - 교수전 곤란도지수

  • 상대평가에서 곤란도의 양호수준은 30~70% 이며, 이상적 수준은 50%, 최대범위는 10~90%의 범위를 사용한다.

  • 절대평가에서는 곤란도는 의미가 없다.

 

3. 문항의 변별도 (=문항타당도지수)

  • 문항 자체가 학생의 능력을 어느정도 변별해 내느냐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문항타당도지수라고도 한다.

    • 변별도지수 = (상부집단의 문항정답비율 - 하부집단의 문항정답비율) ÷ ( N / 2 )

  • 상대평가인 경우 0.4 이상이 되어야 매우 양호한 문항이며 0.2 미만은 쓸모없는 문항이다.

  • 절대평가인 경우 음수가 나오지 않아야 한다.

 

 

4. 문항반응분포

  • 각 문항의 답지에 학생들의 반응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 문항반응분포는 문제 구성의 잘잘못을 판단해 주는 근거롤 제공하며, 오답이 제구실을 하고 있는가를 검토해 준다.

  • 오답반응을 근거로 이후 교수학습과정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다.

  • 바람직한 문항반응분포는 오답지에 학생들의 반응이 고르게 분포하여야 한다.

 

 

5. 문항반응이론 (문항특성곡선)

  • 문항특성곡선에 의해 문항을 분석하는 검사이론이다.

  • 피험자의 능력수준에서 그만큼의 능력을 가진 피험자가 한 문항에 답을 맞출 확률로 표기한다.

  • 피험자의 능력과 정답반응확률

    • 문항난이도 :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의 0.5에 대응하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말한다. 문항의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며, 문항특성곡선이 오른쪽에 위치할 수록 어렵다.

    • 문항변별도 : 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피험자의 능력에 따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가 가파르면 문항변별도가 높아지는 반면 기울기가 완만하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수치가 높을 수록 변별도가 좋다.

    • 문항추측도 : 능력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답을 맞추는 확률로, 0.2 보다 높은 문항은 검토가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