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과정 : 잠재적 교육과정의 보수적, 급진적 관점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1.
  • 잠재적 교육과정의 보수적 관점
  • 잠재적 교육과정의 급진적 관점

 

1. 잠재적 교육과정의 보수적 관점

    •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의 부산물로, 학교교육의 비문학적 결과로 이해한다.

    • '잠재성'에 의도성을 크게 부각시키지 않으며 학교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생활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 사회 전체의 맥락과 관련시켜 이해하지 않는다.

    • 즉, 학교교육을 통해서 얻어지는 모든 경험 중에서 명시되지 않았던 부분에 새롭게 관심을 두는 것이다.

    • 관심사 : 학생은 학교 생활을 하는 동안 은연중에 어떤 사회규칙이나 규범을 배우면서 사회인으로 성장하게 된다.

    • 학자들의 관점

      • Merton : 표면적 기능의 관점으로만 관찰.해석되던 사회적 제도나 행동들이 잠재적 기능의 관점에서 어떻게 새롭게 관찰되고 해석될 수 있는가를 설명하였다.

      • Jackson : 군집성, 상찬, 권력

        • 군집성 : 학교는 많은 학생들이 어우러져 배우는 곳이다.

        • 상찬 : 학교는 계획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쉴새없이 평가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 권력 : 학교의 특징은 권력관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 표면적 교육과정 (1차적결과) : 정규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기술 등의 학습

        • 잠재적 교육과정 (2차적결과) :구체적 사건이나 고립된 현상의 기억으로서는 단순하게 기술 될 수 없는 학교와 관련된 아동의 변화 전부

      • 김종서 : 학교의 생태, 사회환경 인적구성요소

        • 학교의 생태 : 학교는 교육의 목적하에 특수 연령층의 이질적인 많은 아동들이 한 곳에 모여 특수한 위계질서를 이루는 사회체제 속에서 정해진 표준에 따라 여러 가지를 배우는 기관이다.

        • 사회 환경 :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은 학교 내에서 찾는 것보다 사회환경에서 찾아야 하는데, 학교 내의 특성은 궁극적으로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 인적구성요소 : 학교행정가, 교사, 학부모는 직.간접적으로 잠재적 교육과정에 영향을 준다.

        • Dreeben : ' 성인 권위의 수용' 이라는 측면에 국한하여 잠재적 교육과정을 분석

        • Kohlberg : 잠재적 교육과정을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논의

 

 

2. 잠재적 교육과정의 급진적 관점

    •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교교육의 의도된 원인으로 보고, 의도성의 은폐, 음모, 숨은 목적에 대해 날카로운 관계를 표출한다.

    • 급진주의자들은 잠재적 교육과정을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이나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 특징이다.

    •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보고 현재의 사회에 맹목적으로 복종하게 하는 보수적 관점을 비판한다.

    • 잠재적 교육과정을 재생산의 가장 효과적인 도구라고 지적하고, 학교교육의 역기능적인 측면을 지적한다.

    • 학자들의 관점

      • Silber-man : 학교가 아동들에게 강요하고 있는 순종과 복종의 문제를 주목하고 이것이 학교교육을 실패로 이끈는 중대한 학교의 기능임을 지적

      • Reimer : '학교는 죽었다' 학교의 비공식적 교육과정을 통하여 아동들이 비인간적인 심성을 배우고 이기적인 경쟁심을 배우며 순종과 복종을 통한 적응방법을 배운다는 것을 강조한다. 도시생활, 정신노동, 부와 권력 등의 이유로 학부모는 자녀를 학교에 보내기를 원하지만 교육비의 급격한 증가나 학교교육 자체의 모순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중도에서 탈락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있다고 주장한다.

      • Illich : '학교없는 사회' 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바로 배우는 것으로 상급학년으로의 진급을 교육으로, 졸업증서를 능력으로, 언어의 유창성을 어떤 새로운 것을 말하는 능력으로 혼동하도록 교육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 Bowles & Gintis : 학교는 암암리에 자본주의 사회의 유지에 필요한 가치관과 성격적 특성을 주입시키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 Apple : 학생들은 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사회생활의 통제와 조직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복잡한 관계와 갈등을 간과하고 있는 ' 합의의 이데올로기' 를 배우고 있다. 어느 특정한 내용은 교육과정에서 제외되어 가르칠 수 없도록 되어있고, 혹 가르치더라도 선택적으로 재해석하도록 가르치고 있는 반면에, 기배계급과 전쟁을 중심으로 한 역사는 예외없이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가르치고 있다.

 

 


! 보수적 관점과 급진적 관점의 정확한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