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생활지도 및 상담의 기술 (반영, 직면, 해석, 요약, 자기개방 등)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1.
  • 대화에서 지켜야 할 비언어적 원칙
  • 대화에서 지켜야 할 언어적 원칙
  • 경청
  • 구조화
  • 재진술
  • 반영
  • 명료화
  • 직면
  • 해석
  • 즉시적 반응 (지금 - 여기 )
  • 요약
  • 정보제공
  • 자기개방

1. 대화에서 지켜야 할 비언어적 원칙

    • 눈의 접촉 (아이컨텍) :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신뢰감 형성을 통한 레포형성의 용이

    • 머리 끄덕거림 : 상담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 나타내기

    • 활기

    • 정면으로 대면 : 심리적 접촉 거리 좁히기

    • 개방된 자세유지

    • 약간 앞으로 기울리는 자세유지 : 상담자가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고, 호소하고 있는 내용에 집중하고 있음을 느끼게 함

 

2. 대화에서 지켜야 할 언어적 원칙

    • 상담자가 대화의 화제를 임의로 바꾸지 않도록 주의한다.

    • 카운슬러의 질문이나 언급은 진행중에 있는 화제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 목소리는 차분하고 분명하여 알맞은 크기일 때 피상담자의 마음을 편하게 할 수 있다.

    • 최소 한도의 말로 반응하여 피상담자가 이야기 할 기회를 보다 더 많이 가지도록 한다.

 

3. 경청

    • 경청이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상담자가 선택적으로 주목하는 것을 뜻한다.

 

4. 구조화

    • 상담의 시작 단계에서 상담에 필요한 제반 규정과 상담에 있어서의 한계에 대해 학생에게 설명해 주는 것

    • 구조화에 포함된 책임의 한계

      • 책임의 한계 : 학생의 문제와 행동 및 문제해결에 대한 책임은 학생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명백히 한다.

      • 시간의 한계 : 시간에 대한 규정과 한계에 대해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

      • 행동의 한계 : 학생이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해치거나 방화 또는 그 외의 범죄행동이 임박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비밀보장을 파기하는 등 지체 없는 적절한 조처를 취할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설명해야 한다.

      • 애정의 한계 : 애정에 대한 한계를 내담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5. 재진술

    • 어떤 상황, 사건, 사람, 생각등의 내담자의 진술 중에서 상담자가 동일한 의미의 말로 바꾸어 기술하는 기법

    • 내담자에 관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되돌려 줌으로써 자신이 한 말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돕는다.

 

6. 반영

    •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기본적인 감정, 생각 및 태도를 상담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언해 주는 것

    • 내담자의 자기 이해를 도와줄 수 있으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이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 " ~~ (사건, 상황, 사람, 생각) 때문에, ~~ (기분, 느낌, 감정) 이구나, 너는 ~~하기를 원하는데 " 라는 형식을 취한다.

 

7. 명료화

    • 내담자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뜻을 내담자가 명확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 " ~라는 말이니?" 혹은 " ~ 라는 뜻이니?" 라는 형식으로 질문한다.

 

8. 직면

    • 내담자가 모르고 있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생각과 느낌에 대해서 주목하도록 하는 상담자의 언급

 

9. 해석

    •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의 생각과는 다른 각도에서 자기의 행동과 내면 세계를 파악하게 하는것

    •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담자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10. 즉시적 반응 ( 지금 - 여기 )

    • 내담자에게 부적응 특성이 반복되어 나타날 때, 그 점에 초점을 맞추어 개입하는 방법.

 

11. 요약

    • 재진술과 반영의 확대된 혀애의 기법

    • 상담자의 언어적 표현들 중 여러 요소들을 서로 엮어 공통적인 주제 혹은 유형을 밝혀내어 지나치게 두서없는 이야기를 정리한다.

    • 이런 이야기 정리는 상담의 진척정도를 검토하여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촉진시킬 수 있다.

 

12. 정보제공

    • 자료 또는 어떤 사실들에 대한 언어적 의사소통

    • 자신이 처한 상황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고, 잘못된 생각이나 신념의 변화를 유도하기 윟 정보를 제공한다.

 

13. (상담자의) 자기개방

    • 상담교사가 자신에 대한 정보를 학생과 나누는 것

    • 자기개방은 대체로 재진술과 반영, 요약 등에 의해 촉진된다.

    • 적절한 자기개방을 통해 학생이 예전에 생각할 수 없었던 관점들을 나누고 발견하는 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