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측정평가 : 역동적 평가, 성장참조평가, 능력참조평가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9.
  • 역동적평가
  • 성장참조평가
  • 능력참조평가

1. 역동적평가

  • 평가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변화의 흐름에 초점을 두어 과정 자체를 변화시켜 나가는 평가이다.
  • 평가의 결과적 측면보다는 과정적 측면을 강조한다.
  • 평가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예기치 못했던 사건들을 의도적으로 통제하려 하기보다는 이를 필연적이며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인다.
  • 역동적평가는 비고츠키가 제안한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에 근거하여 발달잠재력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이다.
  • 교육목표의 달성도 뿐만아니라 향상도를 평가한다.
  • 도달점행동만 평가하는 고정적평가와 달리 역동적 평가는 출발점행동과 도달점행동을 모두 측정한다.
  • 평가는 준거지향으로 실시되며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중시한다.
  • 고정평가는 학생들을 선발하고 분류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지만, 역동적평가는 개별학생의 학습활동을 개선하고, 교육적인 지도 및 조언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2. 향상도평가 (성장참조평가)

  • 교육과정을 통하여 얼마나 성장(향상도)하였는가에 초점을 두는 평가
  • 최종 성취수준에 대한 관심보다는 초기 능력 수준에 비추어 얼만큼의 능력 향상을 보였는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 초기평가를 기준으로 얼마만큼 향상되었는가?

 

  • 성장참조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 사전검사에서 측정한 점수가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 현재 측정한 측정치가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 사전 측정치와 현재측정치 간 상관이 낮아야 한다.

 

  • 이외에도 성장참조평가는 천정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3. 능력참조평가

    • 학생이 지니고 있는 능력을 기준으로
    • 학생이 얼마나 최선을 다하였는가(노력)에 초점을 두는 평가이다.
    •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개별적 평가이며,
    • 각 학생의 능력과 노력에 의하여 평가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