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교육과정의 개념과 분류, 활동 / 이론적 고찰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7. 24.
  • 교육과정의 개념
  • 교육과정의 분류
  • 교육과정 활동
  •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교육과정의 개념

  • 설정된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서 학교와 교사의 계획하에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모든 학습내용 및 경험이 총체
  • 커리큘럼 : "뛴다" 를 의미하며 쿠레레에서 유래되었다. 교사의 입장에서는 교수해야 할 코스이며, 학생의 입장에서는 학습해야 할 코스이다. 재개념주의자들은 커리큘럼이 개인적인 의미형성을 통한 보다 실존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 교육과정의 정의 관점 : 문서속에 담긴 교육계획의 관점에서 교육과정, 교육내용의 관점의 교육과정, 학습경험 관점의 교육과정, 의도된 학습 성과 관점의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분류

  • 공식적교육과정 : 문서 속에 담긴 교육계획
  • 실제적교육과정 : 교사의 수업 속에 반영되는 교육과정.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 영교육과정 : 공적문서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교육목표나 배워야 할 교육내용.
  • 잠재적교육과정 :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통해 얻는 경험 중 학교나 교사의 계획과는 무관한 내용

 

 

3. 교육과정 활동

  • 교육과정개발 : 교육목적과 교육내용으 체계,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교육방법,평가,운영등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만드는 활동
  • 교육과정운영 :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서 패택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 교육과정개발은 여러 수준에서 일어나지만, 운영은 학교에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상급기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주요 의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학교의 실정을 고려한 운영방식이 강조되고 있다.
  • 교육과정평가 : 교육과정의 값을 매기는 활동. 즉, 교육과정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이다. 교육과정의 유지와 수정 및 폐기 여부를 판단한다.

 

 

4.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전통주의자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견해

  • 보비트의 영향을 받은 타일러가 "교육목표 - 학습경험선정 - 학습경험조직 - 교육평가" 의 모형을 제시하여 교육과정에 과한 사고의 방법을 처음으로 체계화 하였다.
  • 보비트 : 과학적 경영의 원칙을 교육에 적용시키고자 하였으며, 교육은 아동들이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때문에 주지주의적 교과중심인 전통적교육과정을 비판하고 사회생활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효율성을 교육에 반영하고 환원주의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의 구성방법을 세분화 하여 표준화시키고자 하였다.
  • 타일러 : 순환모형을 제시하여 교육과정에 관한 사고의 출발점을 제시하였다. 이런 절차는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보고, 표준화된 행동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즉, 아동을 원하는 목적에 따라서 길러낼 수 있다는 전제를 숨기고 있다.

 

 

   2) 개념-경험주의자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견해

  • 학문적 가치가 없어나 적은 지식을 지양하고, 좀 더 생산적이며 경제적인 지식으르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
  • 교육은 지식의 전달과정이 아닌 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하며 이것이 다루어지는 과정 자체를 중시해야 한다.
  • 탐구학습법, 발견학습법이 강조되며, 과학적인 탐구로부터 이끌어낸 결론과 과학적인 방법을 중요시한다.
  • 교육과정의 현상을 체계적, 과학적, 학문적으로 연구하며, 실증주의적 합리성에 기초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 교육과정은 지식, 기술, 경험, 행동성향 등을 교사가 적절한 재료와 행동으로 서로다른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수준으로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 대표학자 : 뷰쳄, 포스너, 슈왑, 워커, 스킬백

 

 

   3) 재개념주의자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견해

  • 학교는 사회 연장이다. 때문에 교육과정의 목표는 반드시 학습자들의 삶을 해방하거나 그에 도움이 되는 것이어야 한다.
  • 종래 접근들에서 간과되었거나, 의도적으로 무시하였던 교육내용의 이데올로기성을 분석한다.
  •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접근방식을 가지고, 현상학, 해석학, 실존주의철학, 정신분석학 등의 방법론을 선호한다.
  • 교육의 미시적 문제를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현상학적이며 해석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 대표학자 : 파이너, 애플, 지루, 아이스너, 하브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