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운동제어 : 주의집중 (주의집중 유형, 주의집중 유형의 측정)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7. 4.
  • 주의집중의 유형
  • 주의집중 유형의 측정

1. 주의집중의 유형

  • 주의란, 정보의 획득 및 파지와 밀접히 관련된 일련의 과정으로  주의의형태 주의의변화 규명해야 한다.
  • Nideffer는 운동경기에서 (주의의유형)을 1)주의의 폭과, 2) 주의의 방향으로 구분하였다.주의의 폭과 방향은 (운동종목과 역할, 상황의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주의유형이요구된다. 즉, (경기상황)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주의유형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 주의의폭 : (주어진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정보에 집중해야하는가)에 따라 광의 협의로 구분.
  • 주의의방향 : 감정과 생각 등을 (내적단서에 집중하는가, 외적단서에 주의를 기울이는가)에 따라 내적,외적으로 구분.
  • 1)광의-외적유형 : 의 선수는 환경에 보다 빠르게 적응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움직임을 분석, 예측하여 게임에 대한 전략을 보다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 2)광의-내적유형 : 의 선수는 변화하는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주의를 잘 기울일 수 있으며 또한 그 상황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3)협의-외적유형 : 골프,볼링처럼 어느 한 지점에 목표물을 맞추는 과제는 이러한 주의유형 형태가 보다 수행이 잘 된다. 환경이 변화할 때에 그 변화에 어떻게 반응 해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 4)협의-내적유형 : 의 선수들은 뚜렷한 방법으로 변화가 느리게 발생하는 스포츠에서 보다 수행이 좋다.이 유형의 특징은 운동수행 또는 전략적인 실수들에 대하여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 게임에 대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계획, 변화하는 환경에 빠른 적응 이거 두개 서로 바뀐거 아님???

 

 

2. 주의집중 유형의 측정

  • TAIS 의 17개 척도 중 6개는 집중유형을 측정한다.
  • 일반적으로 집중을 잘하는 사람들은 외적,내적 요소로부터의 동시자극을 잘 다룰 수 있으며, 정보에 지나친 반응을 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중대한 정보를 놓치거나 없애지 않고서 필요할 때 주의집중을 좁힐 수 있다.
  • 반면, 집중을 못하는 사람들은 내적,외적,양쪽에서 복합자극에 지나치게 반응하거나 혼동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집중의 하나를 취할 때 집중의 폭을 좁하는데 문제를 일으킨다.

 


 

운동제어 : 주의 ( 주의 요소, 주의력 향상을 위한 방법, 주의집중시 나타나는 문제점 )

주의? 주의의 요소(Etzel) 주의력 향상을 위한 방법 주의집중시 나타나는 문제점 1. 주의? 선택성 : 특정대상에 집중한 것을 또 다른 대상에게 그 초점을 옮길 수 있는 집중전환능력 배분성 : 어떤

py-edu.tistory.com

 

운동제어 : 주의집중모형 (고정역량이론, 가변역량이론, 다중자원이론, 이중과제)

정보처리모형 : 1) 고정역량이론, 2) 가변역량이론, 3) 다중자원이론 이중과제 주의전략 1. 정보처리모형 주의집중은 하나의 정보자원에서 다른 정보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과 특정 시기

py-edu.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