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링겔만효과(사회적 태만)와 해결방안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8.
  • 링겔만효과
  • 사회적태만 : 1) 할당전략, 2) 최소화전략, 3) 무심승차, 4) 반무임승차
  • 링겔만효과 및 사회적태만의 해결방안
  • 스포츠(운동) 중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는 방법

1. 링겔만 효과 (Ringelmann effect)

  • 1,2,3,8명을 상대로 줄 당기기 과제를 관찰 함
  • ▷ 2명일 때 93%, 3명일 때 85%, 8명일 때 49%으로 점진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짐
  • 독일의 심리학자 링겔만은 1인의 성과 효율 기준을 100으로 놓았을 때 해당 일을 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일 효율이 비례할 것이라 생각하고 해당 가설을 세워 실험을 하였다. 줄을 당기는데 1인의 성과가 2인이 되었을대는 각각이 200이 아닌 186, 3인이었을 때는 255 8인이었을 때는 392의 효율을 내었다. 이는 링겔만이 초기에 세운 8인 기준 800이라는 성과보다 적은 수치였다. 절반도 안되는 392의 효율을 내었던 것이다.


2. 사회적태만

  • 링겔만 효과는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과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 사회적 태만은 보통 4가지로 정의된다.
  • 할당전략, 최소화전략, 무임승차, 반무임승차 4가지의 경우로 압축되는데
  • 1) 할당전략 : 혼자 있을때를 무의식중에 대비해서 집단으로 있을때 동료에게 의존하여 자신의 에너지는 의도적으로 저장해놓는 형태를 말한다.
  • 2) 최소화 전략 : 가능한 최소한의 노력으로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려는 것을 의미
  • 3) 무임승차란 : 남의 노력에 편승하여 자신의 노력을 아끼는 것이다.
  • 4) 반무임승차의 경우 무임승차하는 구성원의 일원에게 악심을 품고 자신도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이다. 무임승차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있는 반무임승차는 결국 팀원 전체의 손실로 오는 것이다. 자신의 (혹은 자신이 속한 팀의 결과) 보다 구성원의 태만에 불만이 우선시되는 효과라 볼 수 있다.
  • 무임승차와 할당전략은 형태는 굉장히 비슷하지만 의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 할당전략은 자신이 혼자남을 때를 대비하여 남에게 편승하는 것이고 무임승차란 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남에게 의존적인 것이다.
  • 자신에게 최고의 결과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 할당전략이라고 한다면 무임승차란 것은 그러한 의도는 상당히 낮게 자신에게 설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이러한 사회적 태만은 스포츠활동인 팀 활동에 있어서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한다.
  • 사회적 태만은 구성원이 많을수록 발생하기 쉬운데 이를 위해서는 몇가지 예방책이 필요하다.



3. 사회적 태만의 예방 방법

  • 사회 구성원 개개인이 창의성을 발휘하여 팀 구성원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재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 재충전을 위해 강도높은 훈련 뒤에는 휴식을 주도록 한다.
  • 포지션을 서로 바꿔 태만이 팀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깨닫게 해준다
  • 누가 얼마나 노력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한다.
  • 일시적 동기저하는 누구나 발생할 수 있다고 인정 한다.


4. 스포츠 경기(운동) 중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는 방법

스포츠 경기(운동) 중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는 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