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수학습 : 교수학습 지도 형태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8.
  • 타율학습
  • 자율학습
  • 계통학습
  • 일제학습
  • 개별학습
  • 분담학습
  • 공동학습
  • 단원학습
  • 독서학습
  • 청취학습
  • 동시학습
  • 관찰학습

1. 타율학습

  • 가장 전통적인 형태로, 교사의 지도하에 학샙들의 지적 학습을 진행시켜 나가야 한다는 전체하에 취해진 학습방법으로 강의법, 설명학습, 시범, 시교 학습등이 해당된다.

 

 

2. 자율학습

  •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필요를 느끼고 학습을 계획하며 실행하는 방법으로 자주적인 인격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학습이다.

 

 

3. 계통학습

  • 일정한 조직체계를 갖춘 교재를 주어진 계열에 따라 학습해 나가는 방법으로, 학생활동보다 교사의 지도성이 더욱 증대된 학습방법이다.

 

 

4. 일제학습

  • 모든학생들이 동일한 내용을 동시에 학습하는 방법. 집단의 이질성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지만, 시청각 학습에서 다량의 지식전달을 위해서는 필요한 형태의 학습방법이다.

 

 

5. 개별학습

  • 학생의 흥미, 노력, 소실 등의 개인차에 따라 개별적이로 진행되는 학습형태. 개별교수에 의한 학습으로서, 일정한 교수내용을 교수의 지시에 의하여 자력으로 해나가는 학습방법이다.

 

 

6. 분담학습

  • 근대학교의 학급조직을 전제로 한 것이긴하나, 학급단위의 일제교수에 따른 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학급을 다시 작은 단위로 나누어 교수의 개별화를 도모하려고 한 학습방법

 

 

7. 공동학습

  • 학습을 사회화하려는 목적으로 각 성원이 자신의 흥미나 능력에 따라 작업을 분담하고 특색을 발휘하면서 서로 협력하여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는 형태를 갖춘 학습 지도법

 

 

8. 단원학습

  • 단원계획에 따르는 실제적인 경험 학습. 이런 학습에 있어서는 활동성·통합성·현실성·과제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스스로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되 그런 활동이 어떤 핵심을 중심으로 해서 집약되어 당면과제의 해결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논제학습(論題學習)·문제학습·생활학습 등이 활동성·통합성·현실성·과제성의 모든 성질을 지니지 아니하고 어느 한 두 개의 성질에 집중되는 반면에, 단원학습은 이런 모든 성질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9. 독서학습

  • 교과서, 참고서, 신문, 잡지 등 여러 문서자료를 읽는 능력과 습관을 기르는 학습으로, 모든 학습의 기초적 조건이 되는 학습을 말한다.

 

 

10. 청취학습

  • 아동들의 보고를 듣는것, 토의를 통하여 의견을 듣는것, 라디오, 녹음테이프를 듣는것, 자원인사의 이야기를 듣는 것 등과 같은 학습형태

 

 

11. 동시학습 (=동경험 다목적달성의 원리)

  • 의도적인 학습과 동시에 여러가지를 우연히 학습하는 것으로, 지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학습하는 동시에 지적, 정의적, 기능적인 목표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무의도적으로 학습되는 것.

 

 

12. 관찰학습

  • 사물을 관찰함으로써 대상을 파악하는 학습형태. 감각적 실학주의에 기초를 둔 학습으로, 사물의 성격을 분명히 밝히는 관찰이나 사물의 상호관계를 분명히 하는 관찰 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