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딕(Dick)과 케리(Carey) 수업설계모형의 10단계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7.
  • 1단계 : 요구분석에 의한 교수목적 설정

  • 2단계 : 교수.수업 분석

  • 3단계 : 학습자 및 맥락, 상황분석

  • 4단계 : 수행목표 기술

  • 5단계 : 평가도구 개발

  • 6단계 : 수업전략 개발

  • 7단계 : 수업자료, 매체 개발

  • 8단계 : 형성평가

  • 9단계 : 교수 프로그램의 수정

  • 10단계 : 총괄평가


  1. 요구분석에 의한 교수목적 설정 : 최종목적을 설정하고 요구분석,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파악과 설정

  2. 교수. 수업분석 : 하위기닝과 절차를 분석하여 이들 관계를 일목요연하게 정리

  3. 학습자 및 맥락 상황분석 : 을 통해 교수전략 수립 정보얻기

  4. 수행목표 기술 : 교수,수업분석에 입각해 학습이 종결되었을 때 학스자가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은가 구체적으로 진술하는 것. 수행목표는 학습될 성취행동, 서호하는 취향, 태도 등을 포함한 정보들은 교수전략 수립에 영향을 준다.

  5. 평가도구 개발 : 성취여부를 알아볼 수 있는 검사문항 개발. 목표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6. 수업전략 개발 : 교수 전 활동, 저오제시, 연습 및 피드백, 시험, 후속 활동 등의 교수전략 설정. 학스이론, 학습연구결과, 교수매체의 특성, 가르칠 내용의 특성, 학스자 특성에 바탕을 두고 개발한다.

  7. 수업자료, 매체 개발 : 수업전략에 따라 교수 프로그램을 실제로 만든다. 기존 자료를 선택하여 수정하거나 새로 개발할 수 있다.

  8. 형성평가 : 개발된 교수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

  9. 교수 프로그램의 수정 : 재검토, 목표를 제외한 모든 것을 알맞게 수정

  10. 총괄평가 실행 :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교수 프로그램의 상대적 가치 평가


* 모형의 특징

  • 하나의 통합된 체제 속에서 수업설계의 계획, 평가, 수정이 이루어짐

  • 교수설계의 목적은 특정 조건 하에서 학습자와 교과내용에 맞는 최적의 교수바업을 고안하여 수업과정의 효율성, 효과성, 매력성을 높임

  • 수업중 돌발상황 발생 시 한 부분만을 수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러한 요구사항 반영이 어렵다.

 

* 교육적 의의

  • 간과하기 쉬운 변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조정

  • 수정. 보완의 기회 제공

  • 수업 개선 가능

  • 학습자 및 상황에대한 적절한 수업목표 설정

  • 수업설계 과정은 점진적으로 수정되며, 반복적 상호작용적이다.

 


* ADDIE 모형과의 차이점

  • 실행단계 생략. 실행 단계에 대한 개념이 미약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