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성리학의 교육적 의미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3.
  • 성리학?
  • 성리학의 교육적 의미

1. 성리학?

  • 12세기 남송의 주희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학파
  •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하며, 송학(宋學), 송명이학(宋明理學)이라고도 불린다.
  • 송나라 시대 이전 유학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새로운 기풍의 유학이라는 뜻에서 신유학(新儒學)이라고도 불린다.
  • 성리학은 이기(理氣) 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주와 인간의 생명과 구조를 해명한다.
  • 사회에서 인간의 참된 도리에 관해 깊이 사색하여 우주와 인간, 보편과 특수를 일관하는 방대하고 심오한 학문 체계를 구축하고있다.

 

 

2. 성리학의 교육적 의미

 

     1) 위기지학(爲己之學)

  • 자신의 성찰(도덕적 완성) 과 성현말씀의 깨달음
  • 자신의 도덕적 완성을 목표로 하는 학문
  • 입신양명과 부귀영화를 추구하는 위인지학과 상대되는 말

 

 

     2) 술이부작(述而不作)

  • 읽는 그대로 기술하되 새로 지어내지(덧붙이지) 않아야 한다.
  • 학자의 겸손한 자세와 객관적 태도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서술하는 것이 창작보다 더 중요한 것이란 의미로, 공자가 스승의 역할을 강조한 말이다.
  • 회니논쟁의 단초가 되었으며, 장차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3) 도덕적 실천

  • 도덕원리 탐구 이전에 실천이 필요하다.
  • 인간의 내면적 수양, 철저한 도덕적 자기완성을 추구하고, 도덕규범인 삼강오륜이나 그에 바탕을 둔 계급질서가 절대적인 명분으로 긍정된다.

 

     4) 사서중심의 교육으로 전환

  • 오경에서 사서로 학습의 순서 강조
  • 오경으로부터 시작하여 사서의 순서로 학습한다.
  • 오경 : 시경(詩經), 서경(書經), 역경(易經), 춘추(春秋), 예기(禮記)
  • 사서 :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