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 Paivio심상모델 (심상특성, 부작용, 심상훈련 프로그램)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1.

    심상은 훈련에 의해 그 상을 통제하거나 선명하게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이것은 심상훈련이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심상은 정신연습, 정신훈련, 심리훈련, 심리적 시연, 이미지 트레이닝, 심리기술훈련이라는 용어둘과 혼용하여 사용되어 왔다. 경험이 많은 선수들의 경우 심상훈련을 통하여 수행에 더 많은 이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난다.신체연습만 하는 것보다, 신체연습과 심상이 결합되면 수행에 더 효과적이다.

 

  • Paivio (1985)의 심상모델
  • 심상의 혜택
  • 심상의 관점
  • 심상의 기본적 특성
  • 심상의 부작용
  • 심상 훈련 프로그램

1. Paivio (1985)의 심상모델 (심상의 4가지기능)

  • 파비오는 심상의 기능을 인지적 심상동기적 심상으로 분류 하였고, 이러한 기능은 또다시 일반적 행동과 특수적 행동목표를 지향한다.

    • 일반인지 : 시합과 관련된 전략을 인지, 리허설

    • 특정인지 : 특별한 운동기술 향상을 연상하거나, 완벽히 실행된 기술을 연상하는 것

    • 일반동기 : 이완을 유도하거나 분발하는 것을 심상하는 기능

    • 특정동기 : 특별한 목표 또는 결과를 상상하는 기능

    • 인지적 측면에서의 심상은 게임전략 또는 특별한 운동기술과 같이 수행과 관련된 것에만 초점을 두고, 수행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 동기적 측면에서의 심상은 특별한 목표와 목표지향적인 행동 뿐만 아니라 정서-각성 상황을 표현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수행향상을 목적으로 한 인지적 과정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심상의 혜택

    • 기술획득과 기술유지

    • 각성 및 불안조절

    • 운동계획과 전략개발

    • 스트레스 관리

    • 자신감 획득

    • 부상회복 및 고통관리

    • 집중력 및 주의조절

 

3. 심상의 관점 (Mahoney & Avener, 1977)

 

   1) 내적심상

    • 자신이 신체의 내부에 있는 것처럼 자신의 눈을 통하여 수행장면을 상상하는 것

    • 운동학적 감각을 중요시한다.

    • 엘리트 선수들은 외적심상보다는 내적 심상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연구결과도 있고, 내적 외적 심상 모두를 사용하였다는 결과도 있다.

 

   2) 외적심상

    • 선수들이 비디오를 통하여 보는 것처럼 외부 관찰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수행을 보는 것

    • 외적심상을 사용하면 구랭라는 동작을 외부 관찰자 시점에서 보게 되므로 운동감각적 느낌은 덜하다.

 

4. 심상의 기본적 특성

 

   1) 선명성

    • 선명한 심상은 실제 경험과 똑같이 상을 재생산 하는 것이다.

    • 심상의 선명도를 위해서는 신체의 모든감각이 시합할 때 느끼는 불안, 좌절감, 흥분, 분노 등과 같은 감정을 모두 떠올릴 수 있어야 한다.

 

   2)조절력

    • 선수는 자신이 원하는 상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그 상을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통제력은 원하는 이미지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이다.

    • 조절력은 선명도와 마찬가지로 훈련을 통해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5. 심상의 부작용

  • 흥분수준이 높은 선수들의 경우 다가오는 게임을 상상하는 것은 오히려 통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주의조절의 통제에 어려움을 겪는 선수의 경우 손상을 입기도 한다.

  • 심상의 통제에 문제가 있는 선수들은 바라지 않는 내용으로 인해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 과제와 무관한 요소에 초점이 맞춰질 경우 수행에 악영향을 미친다.

  • 심상에 의해 생성된 과도한 자신감은 과거에 잘하지 못했던 것을 너무 잘하는 것으로 상상하거나 세심한 부분을 간과하게 하여 수행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6. 심상 훈련 프로그램의 실행과 개발

  • 단계 : 교육 - 측정 - 습득 - 연습 - 수정
  • 1) 교육 : 심상소개. 심상훈련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 2) 측정 : 심상능력평가.측정
  • 3) 습득 : 선명도 ☞ 조절력 ☞ 감각지각 능력 연습, 향상 (매일 10분, 수행 전 루틴, 수행 후 검토)
  • 4) 연습 : 선수의 요구에 따라 체계적인 연습
  • 5) 수정 : 심리 훈련 프로그램의 평가 및 보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