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스포츠 심리학 : Kelly 공변원리(귀인원리)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1.

   귀인 이론을 확장하여 관찰자 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가 낳은 결과에 대한 귀인도 포함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지각자는 결과를 행위자와 공변하는 요인에 귀인한다.  지각자는 결과와의 공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합의성, 일관성, 특이성의 (정보)를 활용한다. 합의성, 일관성, 특이성의 정보를 활용하여 결과와의 공변 여부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인과도식이라고 부르는 지식의 구조 속에 저장되어 있다.

    • 일관성 : 관찰된 행동이 그 사람의 전 행동과 일치하는 정도, 시간 장소에 따른 행위의 안정성.

    • 합의성 : 문제된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서도 관찰되는 정도.
    • 특이성 ; 특정 자극에 관련된 행위인가, 아니면 이와 유사한 자극에 관련된 보편적인 것인가의 여부.


 

1. 일관성

   행위당사자가 특정한 상황에서만 그러는지, 다른 상황에서도 그런 행동을 하는가를 뜻한다.

 

2. 동의성(합의성)

   행위당자가만 그런 행동을 하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들도 그런행동을 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것. 다른사람들도 그 행동을 했다면 동의성이 성립된 것이다.

 

3. 특이성

   행위당가자의 행동이 그 대상에게만 국한된 것인지, 다른 대상에게도 항상 나타나는 것인가의 여부이다. 행위대상자가 그 행동을 특정 대상에게만 했다면 높은 특이성을 나타낸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