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운동생리학 : 훈련생리학 정리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7. 17.
  1. 과부하의 원리는 훈련의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운동강도, 시간, 빈도가 신체조직이나 신체기관 계통에 충분한 자극을 주어야 한다는 훈련의 원리이다. 따라서 일정기간 운동을 하면 신체조직이나 기관계통은 이 부하에 적응하게 된다.
  2. 가역성의 원리는 과부하의 원리와 반대의 개념으로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그 효과가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3. 특이성의 원리는 훈련효과가 활동에 사용된 근섬유에게서만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근섬유는 활동형태에 따라 다르게 적응한다. 지구력훈련은 미토콘드리아와 모세혈관을 발달시키며, 부하 훈련은 수축단백질을 향상시킨다.
  4. 횡단적 훈련연구는 신체활동 습관에 차이가 있는 좌업생활자와 달리기 선수의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는 것이다.
  5. 종단적 훈련연구는 하나의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일어나는 시간적 경과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6. 최대산소섭취량을 증가시키는 지구력 훈련프로그램에란 최대산소섭취량의 50~85% 의 운동강도와 주당 3~5회 빈도로, 1회 운동시 20~60분 동안의 대근육군의 포함되는 운동을 말한다.
  7. 지구력 훈련프로그램은 최대산소섭취량을 약 15% 증가시키지만 낮은 최대산소섭취량을 가진 환자나 비운동자에게는 더욱 높은 비율로 향상시킬 수 있다.
  8. 최대산소섭취량의 유전적 요인은 40~66% 정도 나타나며 좌업생활자가 강도높은 훈련을 장기간에 걸쳐 실시한다면 최대산소섭취량을 4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9. 젊은 좌업생활자가 훈련을 실시하면 최대산소섭취량이 향상되는데 증가원인의 50%는 1회 박출량의 증가이며 나머지 50% 동정맥산소차의 증가이다. 그러나 최대심박수는 변하지 않는다.
  10. 일반인에 있어 최대산소섭취량이 분당 2L 에서 6L 로 차이가 큰 이유는 주로 1회 박출량의 차이 때문이다.
  11. 훈련으로 인한 1회박출량의 증가는 이완기말 혈액량의 증가와 수축기말 혈액량의 감소로 기인한다. 1) 이완기말 혈액량의 증가는 이완기말 심실확장과 혈장량의 증가로 이루어진다. 2)수축기말 혈액량의 감소는 훈련된 근육의 세동맥 수축의 감소와 평균동맥혈압의 변화없이 근혈류량의 증가로 이루어진다.
  12. 동정맥산소차의 증가는 훈련된 근육의 모세혈관 밀도의 증가 때문이며 이는 최대로 증가된 근혈류량을 수용할 수 있다. 모세혈관의 밀도가 클수록 근육을 통과하는 적혈구의 이동을 느리게 만들어 산소확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이는 증가된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사용되어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13. 훈련중지로 인한 최대산소섭취량의 감소는 최대 1회박출량의 감소와 근육의 산소 추출능력의 감소에 기인한다.
  14. 근섬유에 대한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모세혈관 밀도의 증가는 혈장-세포질-미토콘드리아로부터의 유리지방산 운반능력을 향상시킨다.
  15. 지방산 순환효소의 증가는 크렙스회로의 산화를 위한 유리지방산으로부터 아세틸CoA 형성률을 증가시킨다. 지구성 훈련이 된 근육에서의 지방산화의 증가는 근육의 당원과 혈장의 포도당을 모두 절약시킨다. 혈장 포도당은 항상성 조절기전의 중요 부분이다.
  16. 지구성 훈련으로 인한 미토콘드리아의 적응현상은 산화적 대사 (크렙스회로, 지방산회로, 전자전달계) 효소의 증가로 나타난다.
  17. 미토콘드리아의 적응현상은, 1) 운동시작 후 빠른 산소섭취의 증가, 2)근육당원과 혈중 포도당을 보존하기 위한 지방대사의 증가, 3) 젖산과 수소생성의 감소, 4)젖산제거의 증가 때문이다.
  18. 지구성 훈련으로 인한 생화학적 변화는 운동에 대한 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훈련된 근육에서의 화학수용기의 피드백 감소와 운동수행을 위한 운동단위 동원의 요구 감소는 최대하 운동에 대한 교감신경계, 심박수, 환기량 반응을 감소시킨다.
  19. 단기간 (8~20주)의 훈련으로 인한 근력증가는 신경의 적응현상 때문에 일어나고, 반면에 장기간의 훈련프로그램으로 인한 근력증가는 근육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20. 근력훈련의 생리적 효과는 지구력 훈련의 생리적 효과와 상충한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