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사회학 : 스포츠 조직의 유형(호혜조직, 사업조직, 봉사조직, 공익조직)과 스포츠 조직의 수준 및 구성요소
스포츠 조직의 유형 스포츠 조직의 수준 스포츠 조직의 구성요소 : 사회적지위, 사회적역할, 사회적규범 1. 스포츠 조직의 유형 누가 조직의 주 수혜자인가에 따라 분류되며 이에 따라 조직의 성격을 결정지을 수 있다. 호혜조직, 사업조직, 봉사조직, 공공복리조직 호혜조직 : 자발적으로 결성된 조직으로 조직의 성원이 주 수혜자이며 조직성원 누구에게나 그 혜택이 공평하게 돌아간다. (스포츠 동호인 집단, 자생 스포츠집단 등) 사업조직 : 조직의 소유주나 경영자가 주 수혜자이며 그 조직의 경영권을 위임받은 사람이 조직의 주 수혜자가 된다. ( 사설 스포츠센터, 상업스포츠의 주체, 프로스포츠 팀) 봉사조직 : 조직의 이용자가 주 수혜자이며 이용자는 조직과 직접 접촉하는 일반대중이다. (YMCA, 사회체육센터 등 스..
2021. 8. 8.
스포츠 심리학 : 성취목표성향과 동기분위기지각의 상호작용
성취목표성향 : 1) 과제목표성향, 2) 자아성향목표 동기분위기지각 성취목표성향과 동기분위기지각의 상호작용 성취목표성향의 미래연구 방향 1. 성취목표성향 "스포츠상황에서 활동에 대한 목표의 지각" 에 따라 성취행동이 결정될 수 있다. 유능성 지각은 개인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과제와 자아성향적인 성취목표로 구별된다. 1) 과제성향목표 : 과제에 대한 숙련과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자기를 참고로 향상되었는가에 관심을 둔다. 과제목표를 지닌 개인은 유능감 수준과 관계없이 적응적 행동패턴을 보인다. 즉, 도전할 만한 과제수준을 선택하고, 노력하며, 과제에 대한 흥미와 지속성, 무능감 감소 등 과제성향이 높은 학생은 활동에 내적흥미가 높고, 협동하며, 노력할 때 성공한다는 믿음이 높다. 자긍심의 증가, 체력증진,..
2021.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