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의 시작
- 초기발전과 낙관적 전망
- 인공지능의 1차 암흑기 (1번째 겨울)
- 1번째 겨울 그 이후
- 인공지능의 2차 암흑기 (2번째 겨울)
- 인공지능의 봄 : 신경망개발
- 인공지능의 현재
- 인공지능의 미래
1. 인공지능의 시작
- 1956년, 뉴햄프셔 하노버의 다트머스대학의 10명의 과학자의 세미나 연구에서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를 최초로 사용
- 이 세미나에서 과학자들은 앨런튜링의 '생각하는 기계"를 구체화 하기 위한 논리적이고 형식적인 시스템 개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음.
2. 초기 발전과 낙관적 전망 (1956년 ~ 1970년대)
- 뇌세포의 작용을 모델링한 논문 발표 (0과1로 이뤄진 2진 논리 모델) - 워런 맥컬록, 윌터 피츠
- 가중값의 개념을 추가한 퍼셉트론 - 프랭크 로젠블랫
- '기호주의' 입장에서 인공지능의 개념 확립 - 마빈 민스키
- ~1970년대까지 많은 대수학 문제를 풀고 증명할 수 있는 기계들이 개발되었음.
3. 인공지능의 1차 암흑기 (1번째 겨울)
- 컴퓨터가 수학적 증명을 하는 것은 뛰어났지만, 인간에게 너무나도 쉬운 걷기나 이미지 인식과 같은 기능의 발현이 매우 어려웠음.
- 또한, 사람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컴퓨터가 해결하는 데에 며칠이 걸림.
- 1) 컴퓨터의 성능과 2) 하드웨어가 충분히 뒷받침 되지 못하였음.
- 위와 같은 상황은 인공지능연구 지원이 끊기면서 인공지능의 첫번째 겨울이 찾아옴.
4. 첫번째 겨울 그 이후
- 다층 퍼셉트론 구현 가능성 확장 (역전파 알고리즘의 개발) - 유치호, 브라이손
-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 박사 학위 논문 (다층 퍼셉트론에서 학습을 가능케 하는) - 폴 워보스
- 그러나 여전히 컴퓨터가 지능을 갖기에 매우 약하다 - 모라벡
- 의료진단 시스템 구성 (인공지능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 파이겐바움
- 상용 전문가 시스템 R1의 운용을 시작하여 매년 4천만 달러를 절약
5. 인공지능의 2차 암흑기 (2번째 겨울)
- 당시 인공지능의 1)하드웨어의 고비용과, 2) 비싼 유지비용, 3) 학습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 애플 컴퓨터, IBM의 데스크톱이 등장하면서 인공지능보다 실용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로봇공학에 투자를 돌림
6. 신경망 개발과 인공지능의 봄
- 홉필드넷 : 정보에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는 신경망의 형태를 찾아냄 - 존 홉필드
- 네오코그니트론 : 기존 코그니트론보다 패턴 인식 능력이 훨씬 좋고 위치, 크기 변화의 영향을 덜 받는 네오코그니트론 개발 - 구니히코 후쿠시마
- 볼츠만 머신 - 제프리 힌튼 / 테이 세이토프스키
- LeNet5 : 손글씨로 쓴 우편물의 우편 코드를 인식해 자동으로 분류하는 프로그램 - 얀 르쿤
- 컨볼루션 신경망(CNN): 요수아 벤지오의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과 볼츠만 머신을 발전시켜 CNN을 개발 - 얀 르쿤
- 신경망의 은닉층에서 나타나는 '그레이디언트 소실 문제'의 발생
7. 인공지능의 현재
- 1997년 체스 : 세계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패) vs IBM의 '딥블루'(승) - 2승1패3무
- 2005년 DARPA의 무인자동차 경주대회 : 스탠퍼트팀 우승
- 2007년 타르탄 레이싱 : 도시챌린지 완주
- 2011년 미국 제퍼디 퀴즈쇼 : 챔피언 브래드 루터, 켄 제닝스(패) vs IBM '왓슨' (승)
- 2012년 이미지넷 인식대회 : (CNN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개발된) 알렉스넷 - 오류율을 26%에서 16%로 낮춤
- 2012년 고양이 사진 딥 러닝 프로젝트 : 컴퓨터가 프로세서 1반 6,00개와 10억개 이상의 신경망으로 유튜브에 있는 1,000 만개 이상의 동영상 중에서 고양이 사진을 찾아내도록 하는 프로젝트
- 2015년 딥러닝 소프트웨어 구글 포토 : 스마트폰 속 수천 장의 사진을 자동으로, 수백 억 장의 사진을 학습하여 사진 속의 사물의 특징을 익혀 수억장의 사진을 단 몇 초만에 판독함
- 2016년 바둑 : 세계챔피언 이세돌(패) vs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승) - 4승1패
- 신경망 은닉층에서 나타나는 '그레이디언트 소실 문제'의 발생을 ReLU, LSTM 구조를 사용하여 해결
8. 인공지능의 미래 (다보스포럼)
- 2016년 다보스포럼의 4차산업혁명
- 1) 기술 혁명이 가져울 변화의중심에 인공지능이 있음
- 2) 현재의 기술 진보는 인류가 경험하지 못했던 속도로 진행
- 3)전문가의 70%는 인간 수준의인공지능이 개발될 것으로 추측
반응형
'★ 프로그래밍 > º 인공지능융합교육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총론 : 문제해결, 휴리스틱, 휴리스틱 알고리즘 (0) | 2021.05.04 |
---|---|
인공지능총론 : 인공지능 개념의 변천사, 연구영역, 약인공지능 vs 강인공지능 (0) | 2021.05.04 |
인공지능총론 : 지능 vs 인공지능, 컴퓨팅 사고력 (0) | 2021.05.03 |
경인교대 과제 : 교육 빅데이터 분석 - 언플러그드 교수학습지도안_중등_체육 (hwp) (0) | 2021.04.22 |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SW교육방법 (언플러그드, 알고리즘 학습,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피지컬 컴퓨팅) (0)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