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프로그래밍/º 인공지능융합교육과

인공지능총론 : 인공지능 개념의 변천사, 연구영역, 약인공지능 vs 강인공지능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5. 4.
  • 인공지능의 역사적 개념의 변천사
  • 인공지능 연구영역
  • 약인공지능 vs 강인공지능

 


1. 인공지능 개념의 변천사

  • 1949년 - 도널드 헵 - 학습 : 인간 학습은 뇌세포의 연결 강화를 의미한다. <학습이론>
  • 1950년 - 앨런 튜링 - 학습 :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착안해 기계가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 제안. <튜링 테스트>
  • 1956년 - 존 매커시 - 학습 : 지능적인 기계를 만드는 과학과 공학

 

2. 인공지능 연구영역

  • 1) 인간처럼 생각 : (컴퓨터가) 인간처럼 생각하도록 하려는 시도
  • 2) 인간처럼 행동 : 사람이 작업할 때 지능을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내는 공학
  • 3) 이성적으로 생각 : 인지, 추론,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계산에 대한 연구
  • 4) 이성적으로 행동 : 지능적 에이전트를 디자인하기 위한 계산적 지능에 대한 연구

 

3. 약인공지능 vs 강인공지능

 

   1) 약인공지능

  • 얼굴인식, 자율주행자동차, 인간의 언어 번역, 건강상태 진단 등 특정 업무에 지능적인 인공지능
  • 특정문제를 해결하는 지능
  • 사람의 지능행동을 흉내냄
  • 대부분의 인공지능의 접근방향에 해당됨
  • <중국인의 방 사고실험>

 

   2) 강인공지능

  • 인간 수준의, 인간처럼 다재다능한 인공지능
  • 강인공지능을 1)인공 의식, 2) 인공 일반 지능 AGI로 구분하기도 함
  • 감정, 판단, 의사소통, 자아 의식을 갖고 사람처럼 느낌.
  • 인간을 포괄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강인공지능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함
  • <튜링테스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