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학 : 재개념주의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논쟁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1. 18.
  • 재개념주의 특징
  • 전통주의 vs 재개념주의
  • 교육과정논쟁 : 1) 전통주의, 2) 개념적 경험주의, 3) 재개념주의


1. 재개념주의 특징

    • 교육현상을 현상 자체에 충실하여 상황적, 즉 다차원적으로 분석한다.

    • 교육과정이라는 같은 대상에 주목하되, 교육경험의 내면적, 실존적 본질을 이해하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Pinat, Apple, Eisner

    • 가치지향적, 목적지향적, 이념지향적이기 때문에 중립적 객관성을 지향하는 과학적 태도와는 거리가 있다.

    • 때문에 장래 교육과정 및 교육이 방향정립을 위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2 전통주의 vs 재개념주의



3. 교육과정 논쟁 ( 전통주의, 개념적 경험주의, 재개념주의)

1) 전통주의자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견해

    • 교육과정 개발에 중점을 둔다.

    • 교육목표는 구체적이고 관찰가능한 형태로 진술하며, 진술된 교육목표는 어떠한 평가방법을 통해서라도 목표달성이 확인되어야 한다.

    • 과학적 경영관리론에 기초하여 실용적인 입장으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에 접근한다. 행동주의적, 수단-목적론적이며, 표준화된 행동변화에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다.

    • 보비트의 영향을 받은 타일러가 교육목표-학습경험의 선정-학습경험조직-평가의 환경 모형을 제시함으로서 교육과정에 관한 사고의 방법을 처음으로 체계화 하였다.

    • Zais, Tyler, Klein, McNeill.



2) 개념적 경험주의의 접근

    • 교육과정의 실제에 중점을 둔다. 교육과정의 실제적 탐구

    • 실제문제를 대상의 상황적 개별적 특성을 대상으로 숙의적 탐구방법을 사용하여 문제해결 행위의 그 결과를 얻는다.

    • 교육과정의 현상을 체계적, 과학적,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실증주의적 합리성에 기초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 교육은 지식의 전달과정이 아니라 지식의 구조를 가르치며, 과정 자체를 중시해야 한다.

    • Schwap, Gagne, Walker



3) 재개념주의적 접근

    • 교육과정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다학문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 교육과정의 사회적 정치적 배경을 비판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 '주도권', '재생산이론' 등을 만들어 내며 다양한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 교육과정에 대한 현상학적이며 해석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 학교, 교육의 문제는 보다 큰 사회적 틀 안에서 이해되어야 하고, 교육과정과 학교, 사회 간의 관계와의 상호관련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 탐구방법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탐구, 정치적텍스트로서의 탐구, 포스트모던 교육과정 탐구

    • Pinar, Appl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