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수 : 집단 구성원이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특성
-
변인 (변수) : 집단 구성원이 어떤 특성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특성
-
양적변인 / 질적변인
-
연속변인 / 비연속변인
-
독립변인 / 종속변인
-
정확한계 (측정치의) : 측정치를 오차범위로 표시하는 것
-
정확하한계 / 정확상한계
-
측정오차 : 측정치는 측정도구의 부정확성, 측정자의 측정방법 등에 따라 항상 오차를 수반한다. 따라서 측정치는 일정한 오차범위에서 해석하는 것이 안전하다.
-
전집 : 연구대상 집단의 전체 사레를 총칭한 것.
-
표본 : 표집을 통해 선발하여 실제 조사되는 대상
-
모수치 : 전집에서 나온 결과
-
통계치 : 표본에서 얻은 결과
-
기술통계 : 집단의 특성을 요약, 분류, 기술하기 위한 방법
-
추리통계 : 표본으로부터 얻은 결과에 의해 전집의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
빈도분포
-
점수의 범위
-
급간의 크기
-
급간의 점수한계
-
빈도분포의 그림
-
막대그림표
-
절선그림표
-
누가빈도분포
-
누가백분율곡선
-
백분위와 백분점수
-
통계 혹은 통계적 방법은 자료를 이해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
통계는 주어진 현상을 요약 기술해 주는 기능과 관찰된 결과를 토대로 관찰되지 않은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일반적 결론을 내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집단 구성원이 어떤 특성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을 때 그 특성을 변인이라 부른다.
-
반대로 집단 구성원이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특성은 상수라고 부른다.
-
측정치는 사용한 척도의 성질에 따라 각지 다른 의미를 가진다.
-
측정치는 측정도구의 부정확성, 측정자의 측정방법 등에 따라 항상 오차를 수반한다. 이를 측정오차라 한다.
-
측정치는 오차를 수반하기 때문에 약수로 표시되며 반올림하여 쓰고 있다.
-
측정치는 일정한 오차범위 내에서 해석하는 것이 안전하다.
-
전집은 연구대상 집단의 전체 사례를 총칭한 것이며 표본은 전집으로부터 선발하여 실제 조사되는 대상이다. 전집에서 나온 결과는 모수치, 표본에서 얻은 결과는 통계치라 부른다.
-
기술통계는 집단의 특성을 요약, 분류, 기술하기 위한 방법이다.
-
추리통계는 표본으로부터 얻은 결과에 의해 전집의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
급간의 정확한계 작성은 연구에 사용된 변인이 연속적인 변인이라는 가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
급간 중간점은 급간 내의 모든 점수들을 적절하게 대표할 수 있다.
-
백분위는 일정한 점수 밑에 주어진 사례의 전체 사례수에 대한 백분율이다.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통계 : 변산도 = 분산도 (범위, 사분편차, 변량, 표준편차, 분산도의 비교) (0) | 2020.11.17 |
---|---|
체육통계 : 중심경향값 = 집중경향치 (평균, 중앙값, 최빈값) (0) | 2020.11.17 |
운동생리학 : 러너스하이의 원인 (0) | 2020.11.16 |
운동제어 : 스트룹효과와 선택적주의 (0) | 2020.11.16 |
운동제어 : 심리적 불응기와 집단화 현상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