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행동 변화모델
- 운동의 심리적 요인
1. 건강행동 변화모델?
-
건강행동 변화는 선행, 수용, 유지의 3단계로 구성된 행동변화과정으로 개념화된다.
-
선행단계는 모형의 계획적, 계획, 준비 단계의 구성요인을 포함한다. 변화를 도와주고, 착수시키며, 방해하거나 지지하는 모든 상황을 포괄한다.
-
수용단계는 행동변화 프로그램의 초기단계를 포함한다.
-
유지단계는 참여자가 행동 변화를 경험하고 습관화된 목표행동이 퇴행되지 않도록 안정시키는 후기 단계이다.
-
단계 : 선행 - 수용 - 유지
1) 선행단계
-
계획전, 계획, 준비단계로 정보 및 동기를 유발한다.
-
변화를 도와주고, 착수시키며, 방해하거나 지지하는 모든 상황을 포괄
-
정보, 언어적 설득과 같은 교육, 모델링, 사전경험, 동기강화 및 손실요인 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하는가에 따라 의도의 변화가 가능하다. (의도는 항상 변화 가능)
-
교육 : 언어적 설득 - 성취경험, 자기효능감 강화
-
모델링(대리경험) : 대리강화, 시각적 정보 전달
-
사전경험
-
의사결정 균형 : 동기손실요인 최소화, 동기유발요인 극대화
2) 수용단계
- 행동의 중도 포기 예방을 위한 전문적 조언
- 정보제공 (운동복, 운동도구, 접근성, 참여자 특성 고려)
-
운동포기를 유발하는 요소들이 의지를 압도하지 않도록 유의
-
주요타자의 사회적 지지
-
수용단계에서 건강행동을 포기하는 까닭은 금단현상이 행동변화에 대한 의지를 압도하기 때문이다.
-
때문에 중도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조언이 필요하다.
-
행동변화로 인한 혜택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자기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행동 변화의 초기 단계를 극복하는 것이 매우 중여하다.
-
운동목적과 참여자위 특성을 고려한 운동복, 운동도구, 운동시설의 접근성 등에 대란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3) 유지단계
-
퇴행예방을 위하여 운동 빈도의 감소와 같은 퇴행의 징후를 명확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퇴행을 예방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
운동을 중도포기하는 결과가 초래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한다.
-
모니터링 : 자기보고서, 일기, 체험 기록 등
-
강화 : 개개인에게 알맞는 강화 (1차강화, 2차강화)
-
퇴행예방 : 퇴행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여 퇴행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 개발
-
행동계약서
2. 운동의 심리적 요인
-
운동 방해 요인
-
자기효능감
-
태도와 의도
-
재미 (흥미)
-
신체 이미지 cf. 사회적 신체불안
-
변화의 단계
-
운동에 대한 지식
-
성격 특성
* 용어설명
-
사회적 신체불안 : 사회적 상황에서 신체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젊은 여성들이 자신의 신체적 외모에 대해 지나칠 정도의 관심을 가지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
사회적 신체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특수한 운동환경과 별도의 운동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사회적 신체불안으로 인한 운동의 중도포기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좋다.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펙트럼 J : 자기주도형 스타일 (0) | 2020.11.11 |
---|---|
스펙트럼 : 체육 교수 스타일 의미,가정 (0) | 2020.11.11 |
체육측정평가 : 상관분석(상관의 정도 및 의미, 계산) (0) | 2020.11.10 |
운동 생리학 : 심폐기능평가(정리) (0) | 2020.11.10 |
운동 생리학 : 건강을 위한 신체구성과 영양(정리)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