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통적 관찰법
- 체계적 관찰법
- 관찰기법의 결합
- 관찰체계의 개발
1. 전통적 교수사정(관찰법)
1) 직관적 판단 :
- 교사활동의 전체적인 판단
- 교사행동에 초점을 맞추나 학생행동에 초점을 맞추지 못한다
- 직전교사는 전체적 평가보다는 구체적 정보를 더욱 필요로 한다
2) 목견적 관찰 :
- 자료의 요약, 기록 없이 사건이나 가치있는 정보에 대해 논의
- 지각적 오류를 범할수 있다
- 관찰, 기록병 병행시 가치있는 기술이 될 수 있다
3) 일화기록법 :
- 일화의 일반적 느낌을 전부 기록
- 단편적인 정보기록이 교수학습활동을 정확성 있게 지각한다고 볼 수 없다
4)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 :
- 리스트를 만들어 관찰시 체크
2. 체계적 관찰법
1) 사건 기록법
-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횟수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기록하는 방법
- 행동의 발생 횟수를 가장 직접적으로 정확하게 기록하는 방법이나, 시간을 기록하지는 못한다.
2) 지속시간 기록법
- 행동의 횟수가 아닌 행동의 시간을 기록하는 방법
- 얼마나 오래 또는 얼마나 짧게 그 행동이 발생했는가에 대한 기록.
3) 동간(간격) 기록법
- 동일한 크기로 시간 간격을 나누어 관찰하는 방법
- 부분간격기록법 및 전체간격기록법을 사용하여 사건을 기록한다.
- 행동 발생 횟수와 시간 모두를 기록할 수 있다.
4) 집단적 시간표집법 :
- 최소의 학생들이 참가하는 행동범주를 측정
- 일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인 표집을 하는데 정해져 있는 기록 시간에 그 행동이 나타났을 경우를 기록하는 방법
- 이전 동간 기록법은 기록을 위해 모든 시간을 투자하였다면 집단 시간표집법은 순간 기록 타임의 행동만을 기록함으로 동간 기록법에 비해 시간적 여유가 있음.
5) 자기기록법 :
- 관심있는 행동을 스스로 기록
- 제 3자의 도움없이 기록 가능
- 자신의 교수수행을 어느정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가능
- 녹음 후 언어행동을 부호화하며 분석할 수도 있다
* 관찰기법의 결합
-
다양한 행동 표집 가능
-
규칙적으로 표집하고 전체 수업시간에 걸쳐 고루 표집되어야 한다
-
어떤 관찰기법을 사용할지는 신뢰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
* 관찰체계의 개발
-
1) 관찰내용 선정
-
2) 관찰체계 선정 (사건기록, 지속시간 등)
-
3) 관찰방법
-
4) 관찰자 훈련 (2~4시간)
-
5) 관찰자료의 신뢰도 검사법
체계적 관찰법을 적용하여 신뢰성을 높이려면 다양한 행동범주를 정확하게 정의하여야 한다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학 : 예방적 수업운영 (Kounin 훌륭한 운영자, 수업운영게임, 수업 흐름의 관리, 수업운영의 효율성 높이기) (0) | 2020.11.06 |
---|---|
체육 교수 스타일 : 스타일별 사용 목적 (0) | 2020.11.06 |
체육 교수 스타일 : 스타일의 주요 특징 (0) | 2020.11.06 |
운동학습 : 수행지식 피드백 vs 결과지식 피드백 (0) | 2020.11.06 |
운동역학 : 마찰력의 종류와 영향을 주는 요인 (0) |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