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업운영을 관찰하기 위한 관점
- 수업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 수업 흐름의 관리
- 수업운영게임
- Kounin 훌륭한 운영자
1. 수업운영의 효율성을 관찰하기 위한 준거
-
수업운영시간 : 학습과 관련이 없는 과제에 사용한 시간의 총제
-
수업운영 장면의 길이와 빈도 : 교사에 의한 수업운영행동으로 시작하여 다음 정보전달이나 활동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
-
이동
-
상규적활동의 구조화 여부 : 빈번이 발생하는 활동들에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
수업흐름의 방해요인 처치 여부 (수업흐름의 관리)
-
교사의 수업활동을 침해하는 학생
-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교사의 대응방법 (동시처리)
-
계획된 목표달성 전에 그 활동을 중단시키거나(중도포기),
-
다시 최초의 활동으로 귀환하는 것(전환회귀)
-
불필요할 정도로 활동을 세분화 (과제세분화)
-
막연한 관찰만으로는 능률적인 수업운영이 잘 발견되지 않는다.
2. 수업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
최초 활동의 통제 : 수업전 수업의 방향성 확립
-
수업시간의 엄수
-
출석점검 시간의 절약 : 출석점검시간 동안 부적절한 학생행동이 일어날 가능성 삭제
-
주의집중에 필요한 신호의 교수 : 신호방법과 의미를 분명하게 설명하고 그신호 반응의 신속성에 관한 피드백 제시
-
높은 비율의 피드백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활용
-
학생 수업운영 시간의 기록 게시 : 기록부 기록
-
열정, 격려, 주의환기 : 수업준비태세를 갖추도록 하고 수업진행 상황에 대한 관심 촉발시키기
-
즉각적인 성과를 위한 "수업운영 게임"의 사용
3. 수업 흐름의 관리 (수업의 여세성, 수업의 유연성 유지)
-
동시처리 :
-
최초의 수업활동의 여세를 유지하면서 수업에 방해가 되는 사건을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
-
주된 활동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수업에 방해가 되는 사건을 손짓, 말, 눈짓 등으로 간단히 처리하는것
-
학습 활동의 침해
-
교사가 학생들이 어떤 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부적절한 시기에 자기 멋대로 학습활동을 중지시키는 것
-
학습활동이 자연적으로 중단될 때를 기다렸다가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탈선
-
수립한 계획에서 벗어나 계획했던 목표와 무관한 일에 빠져버리는 것
-
계획했던 수업의 주제에서 이탈하는 것
-
중도포기와 전환회귀
-
중도포기 : 예정했던 결과를 획득하기 전에 활동이 중단되는 것. 활동중단 후 교사가 다른 활동을 부여하면 학생들은 중도포기 상태에 빠지게 된다.
-
전환회기 : 중단하고 다른활동으로 전환하였다가다시 최초활동으로 돌아오는 것.
-
과잉설명
-
이해에 필요 이상으로 행동하거나 설명하는 것
-
이미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상의 설명을 하는 것
-
세분화
-
집단세분화
-
활동세분화
4. 수업운영게임
-
규칙을 분명하게 진술,게시, 상기
-
보상에 대해 정하기
-
가치있는 보상임을 강조
-
수업운영 게임의 규칙을 일관성 있게 적용
-
집단책임제 : 집단 전체의 수행 성적을 토대로 보상이 주어지는 것.
-
모든 집단이 수업운영 게임의 기준을 지키느냐 지키지 못하느냐의 여부를 따진다.
5. Kounin 훌륭한 운영자
-
상황이해
-
제지의 명료성
-
동시처리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 건강운동 및 경쟁운동 상황중 응집력 향상방안 (0) | 2020.11.07 |
---|---|
스포츠 심리학 : 부정행위 형태와 발생조건 (0) | 2020.11.06 |
체육 교수 스타일 : 스타일별 사용 목적 (0) | 2020.11.06 |
체육학 : 체계적 관찰기법 (사건기록법, 지속시간 기록법, 동간 기록법, 집단적 시간표집법, 자기기록법) (0) | 2020.11.06 |
체육 교수 스타일 : 스타일의 주요 특징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