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측정평가 : 준거관련타당도(공인타당도, 예측타당도)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2. 14.
  • 준거관련타당도 :
    • 1) 공인타당도  : 상관계수 R
    • 2) 예측타당도  :  교차타당화, 회귀방정식

1. 준거관련타당도

  • 준거검사점수와 현장검사점수를 비교하여 추정한 타당도
  • 준거검사는 기존에 타당성을 인정받고 있는 검사나, 미래의 수행력을 나타내는 검사가 될 수 있다.
  • 내용타당도와 다르게,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타당도의 정도가 구체적으로 추정가능

 

 

   (1) 공인타당도

  • 상관계수(R)를 통해 추정
  • 현장 검사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 자주 사용된다.
  • 공인타당도는 타당성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하지만, 기존의 준거검사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기존에 타당성을 입증 받은 검사가 없다면 공인타당도는 추정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 또한 준거검사와 측정하고자 했던 속성과의 관계 정도에 따라 공인타당도가 달라져, 새로운 검사의 타당성 정도는 공인타당도 계수로 추정된 값보다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
  • 따라서 공인타당도를 추정할 때에는 첫번째절차인 준거검사의 논리타당도를 확인하는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 추정 절차 :
    • 준거검사가 기존에 타당성을 입증받은 검사인가?

    • 동일한 피험자 집단에게 동일한 시험 상황에서 새롭게 제작된 검사와 준거검사를 실시

    • 새로운검사점수와 준거검사점수 간 상관계수 추정

    • 논리타당도가 확인되고, 두 검사 점수 간 상관계수가 0.8 이상으로 확인되면 새로운 검사 사용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른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예측타당도

  • 어떤 검사 점수가 미래의 행위를 얼마나 잘 예측하느냐의 문제로, 현재 측정한 검사 점수로 미래의 성공적인 행동을 예측하려는 시도.

  • 예측타당도 추정 절차 : 추정하고자 하는 검사를 피험자들에게 시행 -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검사한 내용과 관계가 있는 행위를 측정 (검사의 내용과 관련된 행동) - 처음 실시했던 검사점수와 미래 행위의 측정치와의 상관을 추정

  •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 체육분야에는 미래의 행위는 아니지만, 현장검사점수를 통해 실험실 검사 점수를 예측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실험실 검사 점수가 현재의 준거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오래달리기검사(현장검사)를 통해서 최대산소섭취량(현재의 준거행동)을 예측하는 등..

  • 추정절차 :
    • 2집단 무선할당
    • 집단1 사용하여 회귀방정식산출
    • 산출된 회귀방정식에 집단 2의 현장검사점수를 대입하여 준거검사 점수 추정
    • 추정된 준거검사점수와 실제로 측정된 집단 2의 준거검사 점수 간 상관 산출
    • 추정의 표본오차 산출
    • 200명 무선표집
    • 현장검사와 준거검사 실시
    • 현장검사점수와 준거검사점수 간 상관 산출하여 상관이 정도가 높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두 검사 점수간 선형관계
    • 교차타당화 절차 수행

  • 교차타당화 : 연구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그 연구에 사용하지 않은 다른 집단(sample)으로 평가해 보는 타당화 방법을 말한다. 연구의 편의상 어떤 표본을 무선적으로 양분하여 각 집단을 다른 집단의 교차타당화 표본으로 사용하거나 전혀 새로운 표본을 사용할 수도 있다.
  • 회귀방정식 y = ax + 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