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측정평가 : 내용타당도, 논리타당도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2. 14.
  • 내용타당도
  • 논리타당도

1. 내용타당도

  •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지 않고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

  • 속성의 명확한 정의가 어려운 정의적 영역과, 전문가마다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어 검사도구의 타당성입증의 논란의 여지가 많다. 또한 정량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당성의 정도를 나타낼 수 없다.

  • 하지만, 전문가에 의한 판단으로 검증되므로, 연구대상의 수가 적거나 관찰에 의한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며, 가장 기초적인 타당도로, 검사를 개발할 때 가장 먼저 고려되는 타당도이다.

  • 이원목적분류표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게 된다.

  • 절차 : 이원목적분류표작성 - 검사문항개발 - 일부학생들에게 시행.채점 - 25%문항채택하여 검토 - 수정,추가,삭제, 강조 등의 내용과 행동영역 결정

  • 번거롭다는 이유로 문항을 먼저 개발한 후에 이원목적분류표를 작성하게 되면, 중요한 내용을 검사에서 빠트리거나 검사 문항들이 한두가지 내용 영역에만 치우칠 수 있다.

 

 

2. 논리타당도

    • 필수적이고 가장 중요한 기능 요소를 측정하고 있는 정도

    • 즉, 어떤 검사가 중요한 운동기능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다면 그 검사는 논리적으로 타당한 검사라 할 수 있다.

    • 절차 : 측정하고자 하는 운동기능요소들과 검사의 목적에 대한 검사 개발자의 생각을 검토하여 측정하려는 운동기능 요소들의 목록을 적는다.

    • 실제로 검사에서 측정되는 요소들을 기록 - 두 목록을 비교하여 개발자에 의해 선택된 요소들이 검사에서 실제로 측정되고 있는가를 확인 - 검사의 교육적 목적을 확인

    • 검사의 교육적 목적 : 중요하지 않은 운동기능요소가 검사에 의해 측정되고 있지는 않은가? 중요한 운동기능 요소가 검사에서 생략되지는 않았는가? 검사에서 부적절하게 특정 운동기능 요소가 강조되고 있지는 않은가?

    • 경기능력 측정을 위한 검사에서 논리타당도를 확보하려면 여러개의 검사로 구성된 검사장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 타당도의 적용과 해석

    • 타당도란,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제대로 측정하는가의 문제

    • 하지만, 최근에는 타당도를 통합적인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들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