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문상담교사
- 섭식장애 의심이 가는 학생을 의뢰하여 진단검사 및 상담을 통해 섭식장애 가능성을 파악한다.
- 이와 관련하여 진단검사 및 상담을 한 뒤전문기관에 의뢰한다.
2) 학부모
- 섭식장애는 학교보다 가정에서 일어나기 쉽다.
- 이와 관련하여 주의깊게 관찰한다.
3) 보건교사
- 보건실에 자주 방문할 확률이 높다. 학생을 면밀히 관찰하고 섭식장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학생을 파악한다.
4) 의료기관
- 섭식장애로 의심되는 학생은 의료적 진단이 필요하다.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면접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면접 :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만들기(면접 루틴) (0) | 2020.11.08 |
---|---|
임용면접 : 부정적 신체상, 인지적 왜곡을 지닌 학생을 돕기 위한 교사의 자세 (0) | 2020.11.06 |
임용면접 : 집단따돌림 관련 분류 (0) | 2020.11.06 |
임용면접 : 2016년 중등임용 면접문제 (복귀) (0) | 2020.11.06 |
임용면접 : 학교폭력 방관자의 방관이유와 해결방안 (0) | 2020.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