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초기 폐포환기량의 증가는 대사의 증가만큼 빠르게 일어나지 않아 호기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곧 서서히 증가하여 항정상태에 도달한다. 덥고 습한 환경에서 운동 시 호흡량이 크지만 동맥혈 내 이산화탄소 분압은 거의 차이가 없다. 고강도 운동중 동맥 내 산소분압이 낮아지는 것은, 폐모세혈관 내 적혈구의 이동시간이 짧아져 확산의 제한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
cf ) 호흡조절
원인1. 환기량 및 관류비율의 부조화
원인2. 제한된 확산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제어 : 주의집중이론 (0) | 2020.11.05 |
---|---|
운동생리학 : 카페인 섭취와 운동 효과 (0) | 2020.11.04 |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 자기효능감 (0) | 2020.11.04 |
운동제어 : 요약결과지식 vs 평균결과지식 (0) | 2020.11.04 |
운동생리학 : 운동 시간과 에너지 기여도 (0) | 202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