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목표를 세분화 하면 교사와 학생은 무엇을 수업하고 배울 것인지를 명확히 알 수 있으며, 학습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하지만...
1) 문제점
- 고차적인 정신과정의 목표나 정의적인 목표는 세분화가 곤란하다.
- 아이즈너는 수업과정의 역동성 때문에 사전에 모두 행동으로 세분화 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 교과의 성격에 따라 세분화 자체가 불가능 하거나, 오히려 바람직하지 못한 것도 있을 수 있다.
2) 개선방향
- 목표의 명료화 내지 세분화는 관련자들의 합의를 가능하게 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잘 세분화되어 진술된 목표일지라도 그 타당성이 항상 평가, 비판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언제나 수정, 보완될 수 있어야 한다.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연구방법 (문화기술연구, 현장연구, 메타분석, 델파이법, 기술적연구) (0) | 2021.07.11 |
---|---|
교육통계 : 검사의 점수척도 (원점수, 등위점수, 백분위점수, 백분척도, 표준점수, T점수) (0) | 2021.07.11 |
교육행정 : 교육재정의 원리와 교육비의 종류, 지방교육 재정 교부금 (0) | 2021.06.29 |
교육학 : 구성주의 교육과정 (목적, 학습관점, 학습과제, 학습자 역할, 교사역할, 문제점 ) (0) | 2021.06.29 |
교육학 논술 : 2015년 기출문제 답안작성 (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