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운동학습과 제어 : 과제 내 전이검사 vs 과제 간 전이검사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2. 12.
  • 과제 내 전이검사 : 다른 수행환경에서 같은 기술을 구사하도록 요구하는 검사형태
  • 과제 간 전이검사 : 처음 습득한 기술과 전혀 다른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검사형태
  • 과제 내 전이검사의 측정 vs 과제 간 전이검사의 측정

1) 과제 내 전이검사의 측정

 

실험집단 A 조건에서 연습 C 조건에서 수행
통제집단 B 조건에서 연습 C 조건에서 수행
  • 실험설계는 서로 다른 연습 조건에서 수행한 후 같은 과제에 대한수행치를 비교하기위해 사용된다.

  • 연습조건 A.B 에서의 수행력을 비교하고, C조건에서의 수행력을 비교한 다음,

  • 연습 후 수행과제에서 수행력이 향상되었는가를 비교한다.

  • 과제 내 전이의 양1) 저장 점수2)전이율로 산출된다.

    • 저장점수 : 기준점수에 도달하기 위한 통제집단 시행수 - 실험집단 시행수

    • 전이율 :  A 조건에서의 연습이 B 조건에서의 수행을 향상시킨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 통제집단 첫시행점수) *100 /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 통제집단 첫시행점수)(통제집단 첫시행점수 -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100 / (통제집단 첫시행점수 +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2) 과제 간 전이검사의 측정

 

실험집단 A 과제 연습 B 과제 수행
통제집단 연습 X B 과제 수행

 

  • 과제 간 전이실험설계는 이전에 배운 기술의 경험이 새로운 기술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 두 집단의 B과제 수행력에 초점을 둔다.

  • 모든 점수는 B과제에서의 첫 시행점수이다.

  • 과제 간 전이의 양은 1) 저장점수와 2) 전이율을 통해 측정된다.

    • 저장점수 : 통제집단 시행수 - 실험집단 시행수

    • 전이율 :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 통제집단 첫 시행점수) *100 / (실험집단 첫시행점수 + 통제집단 첫 시행점수)


* 절약점수

  • 재 학습 과정에서의 효율성
  • 파지와 전이기간동안 초기 연습에 의해 달성되었던 숙련도에 도달하리까지 피험자에게 요구되는 시행횟수
  • 지연회상과 즉각회상의 차이로 산출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