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인타당도 :
- 1) 상관계수, 2) 수렴판별, 3) 실험설계, 4) 집단차이, 5) 요인분석
1. 구인타당도
-
집중력, 불안 등 심리적 요인과 같이 직접 측정할 수 없는 특성을 구인이라 하는데,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이론적 구인이나 특성을 얼마나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
-
구인타당도 추정 절차 : 구인의 이론적, 조작정 정의 내리기 - 이론에 근거하여 구인을 측정하는 검사 제작 - 측정대상에게 검사하여 자료를 얻는다. - 자료를 분석하여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인을 제대로 측정하는가 밝힌다. - 구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관계가 없는 검사 문항을 제거
-
구인타당도는 상관계수법, 실험설계법, 요인분석 등의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이 가능하다.
1) 상관계수법
-
상관계수법을 이용하여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통해 구인타당도 검증이 가능하다.
2) 수렴판별
수렴타당도 | 동일한 구인을 측정하는 검사들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야 한다 |
판별타당도 | 서로 다른 구인을 측정하는 검사들은 낮은 상관을 나타내야 한다 |
3) 실험설계법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는 하위 구인을 처치하고 통제집단에는 처치하지 않아, 두 집단의 검사 점수가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측정하여 처치한 구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제대로 설명하는 구인인가를 판단한다.
4) 집단차이방법
- 능력수준이 높은 집단와 낮은 집단을 비교하여 기대하는 점수 차이가 나타난다면 검사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
- (독립 t 검정)이나, (일원분산분석)을 통해서 검증 할 수 있다.
5) 요인분석
- 여러 변수들 간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변수들을 모아 요인으로 명명하고 그 요인에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방법으로, 구인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다.
- 알지 못하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항이나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이나 변인들을 묶어서 몇 개의 요인으로 규명하고 그 요인의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방법이다.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에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중요도가 낮은 변수들은 제거된다. 관련된 변수들이 묶여져 요인을 이루지만 상호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게 되어 변수들의 특성을 알 수 있다. 요인분석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개발된 통계적 방법으로 지능을 밝히는데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구조 방정식 모형에서 잠재변수를 밝히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 요인분석을 이용하면 여러개의 변수 형태로 주어진 많은 정보를 몇 개의 핵심적 내재 요인으로 축약하여 나타냄으로써 정보에 대한 이해와 추가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요인분석은 과다한 정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주고, 자료의 성격을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요인 분석의 목적
-
첫째, 변수의 연구나 모형 개발에 사용되는 변수의 수를 줄여 몇 개의 핵심적인 요인만으로 모형을 구성하고 설명하고자함
-
둘째, 정보와 지식을 보다 용이하고 그리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사회학 : 문화연구이론의 개념과 연구범위, 이론적 전통 (0) | 2020.11.07 |
---|---|
측정평가 : 측정치의 분류(명명, 서열, 동간, 비율척도) (0) | 2020.11.07 |
스포츠 심리학 핸드북 : 건강운동 및 경쟁운동 상황중 응집력 향상방안 (0) | 2020.11.07 |
스포츠 심리학 : 부정행위 형태와 발생조건 (0) | 2020.11.06 |
체육학 : 예방적 수업운영 (Kounin 훌륭한 운영자, 수업운영게임, 수업 흐름의 관리, 수업운영의 효율성 높이기)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