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스포츠 심리학 : 불안과 운동수행 이론 (욕구, 적정수준, 적정기능구역, 다차원, 반전, 카타스트로피 이론)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5.
  • 욕구이론
  • 적정수준 이론 ( = 역U자이론 )
  • 적정기능구역 이론 ( = 최적수행지역이론 )
  • 다차원이론
  • 반전이론 ( = 전환이론)
  • 카타스트로피 이론


1. 욕구이론 ( drive theory )

    • 운동수행의 결과는 불안의 정도, 각성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이론
    • 운동수행 = 욕구 * 습관강도 * 유인동기
    • 운동수행은 습관의 힘이 강화된 시행의 결과로, 욕구가 커지게 되면 수행결과 역시 높아진다.
    • 이 이론은, 비교적 운동수행방법이 단순한 기초운동, 근력과 인내력을 포함하는 대근육근 운동, 폭발적인 힘을 요구하는 종목이 해당된다
    • 허나, 실험대상이 동물이었으며, 간단한 실험과제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복잡한 인간의 운동수행에 적용하기에는 미흡하다.


2. 적정수준 이론 (inverted - U theory ) = 역 U 자이론

    • 특정 지점까지 각성의 증가는 수행력을 증가시키지만, 이후의 지속적인 각성의 증가는 수행력을 저하시킨다
    • 적정 각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특성불안수준, 수행할 과제의 난이도, 수행자의 능력수준 등이 있다.
      • 쉬운과제는 강도가 강한 자극하에 빨리 학습되며, 어려운과제는 비교적 강도가 약한 자극에 쉽게 습득된다
      • 대근운동은 높은 각성수준에 효과적인 운동수행을 보이지만, 소근 운동에는 낮은 각성수준이 요구된다
      • 또한 개인의 수준에 따라 적정 수준에 차이가 있는데, 초보자의 최적 각성 수준은 숙련자의 각성 수준보다 매우 낮아야 한다.
    • 각성수준이 아주 높거나 낮을 경우 경기력은 저하되기 때문에 경기력 극대화를 위해서는 적정수준의 각성상태를 유지해야 효과적이다.
    • 그러나, 이 이론은 각성이 어떻게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는가를 규명하지 못한다
    • cf. 단서활용이론과 비슷 (각성에 따른 주의의 폭)



3. 적정기능구역 이론 ( znoe of mptimal functioning theory), 최적수행지역이론

    • 적정 각성수준은 과제, 개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스포츠 참가자 개인의 적정 운동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불안의 수준 범위를 명시하였다.
    • 상태불안이 자신들의 적정기능 구역 내에 있으면, 적정기능 구역 밖에 있는 선수들보다 훌륭한 수행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어떠한 상태불안 수준이 적정한 운동수행을 일으키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 각성수준이 최적 수행 범위 안에 있는가?)



4. 다차원이론

    • 다차원이론은 적정수준이론의 대안으로, 불안을 2개의 구성요소인 인지불안과 신체불안으로 나누어 불안과 경기력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 인지불안과 신체불안은 상호독립적으로 운동수행력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 상태불안은 인지적 걱정과, 정서적 각성으로 구별할 수 있다.
    • 인지적불안이 신체적불안보다 경기력에 더 강력하며 일관성이있고, 신체적불안은 경기가 시작되기 직전에 최고점에 도달했다가 사라진다.
    • 인지적불안과 경기력은 부적선형관계이고, 신체적불안과 경기력은 역U관계이며, 자신감과 경기력은 정적 선형관계를 갖는다.
    • 신체불안은 기술수준이 아주 높거나 아주 낮으면서, 짧은 시간동안 지속되는 운동종목에서 경기력과 보다 강력한 관계가 있다.
    • 인지불안과 신체불안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불안감소기법을 적용해야 하는데, 신체불안 수준이 높은 경우 점진적 이완기법을 사용하고 인지불안이 높을 경우 인지재구성훈련과 같은 방법으로 불안을 감소시켜야 한다.



6. 반전이론 ( reversal theory )

    • 각성과 정동적정서간의 관계는 자신의 각성 수준에 대한 인지적 해석에 의해 결정된다.
    • 높은각성은 흥분 or 불안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낮은각성은 이완 or 지루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정서의 해석은 쾌락 가변역으로, 하나의 곡선에서 다른 곡선으로 급작스러운 불연속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7. 심리에너지 이론

  • 최고 수행 수준을 보일 수 있는 적정 심리 에너지 지역이 있다.


8. 카타스트로피이론 ( catastrophe theoty )

    • 카타스트로피는 급격한 변화를 의미한다.
    • 각성의 증가가 수행을 최적수준까지 가속시키지만, 각성이 적정수준을 넘어서 이후의 운동수행은 급격히 저하된다 .
    • 역U자 가설은 운동수행력의 저하가 체계적인 곡선 관계 속에서 감소에 일어나지만, 카타스트로피이론은 불안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어느 시점에서 운동수행력의 대격변이 일어난다.
    • 즉, 인지불안과 생리적각성은 운동수행은 항상 질서정연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는 않는다.
    • 수행에서 신체적 각성의 효과는 인지불안 의해 조성되며, 경기자의 수행은 신체적 각성의 증가와 관련있다.
    • 인지불안이 커짐에 따라 각성이 적정수준을 넘게 되면 어느 점에서 격변이 일어난다
    • 스포츠현장에서 일어나는 각성과 수행의 실제 관계를 보다 재인식할 수 있는 이론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