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핫매체, 쿨매체, 핫스포츠, 쿨스포츠
- 스포츠가 매체에, 매체가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 대중전달이론 :
- 개인차이론 : 개인의 4 욕구 충족
- 사회범주이론 : 생활습관의 범주
- 사회관계이론 : 중요타자와의 관계
- 문화규범이론 : 매체를 통한 관념의 주입
* 핫 매체와 쿨 매체의 분류 기준
- 매체가 지니고 있는 정의성
-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자의 수용방법
- 감각참여성, 감각몰입성
1. 핫매체
-
논리적, 사전계획적, 직접적 전달로 높은 정의성
-
장기적, 1대1 의 개별적 수용
-
신문, 라디오, 잡지, 화보
-
문자시대
2. 쿨매체
-
즉흥적, 일시적, 빠른전개, 비논리적, 정보제공량이 적고 내용은 충만함 정의성 낮음
-
분산적, 확산적, 복잡한 형태의 전달로 몰입과 감각참여도 큰 요구
-
TV, 비디오, 영화
-
전자시대
3. 핫스포츠, 쿨스포츠
-
정의성 : 경기자의 행동반경확산 정도, 스포츠경기장의 지역확산 정도
-
스포츠 관람자에게 요구되는 감각의 동원방법과 감각의 동원태도
![](https://blog.kakaocdn.net/dn/cFwn03/btqMArqFJCz/x4wC4YdIW3NIpxDVRTKAQ1/img.jpg)
4. 상호작용적 영향
1) 스포츠 → 대중매체
-
스포츠 의존도 증가
-
스포츠 보도의 위상 향상
-
대중매체의 경제적 측면 증가
-
방송기술 및 보도기법 향상
2) 대중매체 → 스포츠
-
스포츠의 상품화
-
스포츠 규칙과 경기시간의 변경
-
스포츠의 관심, 인기 증대
5. 대중전달이론
1) 개인차 이론
-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욕구 만족을 위해 대중매체를 이용한다
-
개인의 욕구와 그 결과
- 인지적욕구 : 대중매체는 게임과정에 대한 지식, 게임 결과지식, 통계적 지식을 제공한다.
- 각성,정의적 기능: 대중매체는 흥미와 흥분을 제공한다.
- 통합적 기능: 대중매체는 사회집단과 친화하게 하고 다른 관중과 사회적 경험을 공유하게하여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한다.
- 도피적 기능 : 대중매체는 불안, 초조, 욕구불만, 좌절 등의 감정을 정화한다.
2) 사회범주이론
-
대중매체는 다수의 집단이나 집합체 또는 사회범주에 따라 상이하게 반응하며, 이러한 하위집단은 널리 존재하고 있다.
-
스포츠의 소비형태는 연령, 성, 사회계층, 교육수준, 결혼여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
하지만 특수한 하위 집단의 생활습관은 대개 간과된다.
-
대중매체의 영향과 접촉이 비록 중요할지라도 서로 다른 하위집단의 구성원에게 획일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3) 사회관계 이론
-
개인의 대중매체 스포츠 소비의 유형은 중요타자의 가치와 행동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는다.
-
스포츠 소비자 역할로 사회화 되는 요인
- 스포츠를 소비하는 중요타자의 수
- 중요타자의 스포츠 소비 빈도
- 스포츠를 소비하는 중요타자와의 상호작용의 정도
- 스포츠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받은 스포츠 소비에 대한 정도
- 부모가 즐기는 여가활동의 위계서열 중 스포츠의 중요도
- 청소년의 일차적 스포츠 참가
- 청소년기의 사회환경에서 스포츠 참가의 기회
4) 문화규범이론
-
대중매체가 현존의 사상이나 가치를 선택적으로 제시하며 강조한다.
-
다음과 같은 관념이 스포츠를 보도하는 매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 스포츠 소비가 가치있는 여가활동이다
- 노화는 신체적, 사회적 활동에의 참가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 젊은 성인 남자는 연습이나 게임이 끝난 후 맥주를 마신다.
- 스포츠매체 : 스포츠에 담긴 인간의 의식내용을 매체를 통하여 불특정 대정에게 일시에 신속한 방법으로 전달하는 매체
- 매체스포츠 : 매체를 통하여 스포츠에 관한 지식이나 정보 그리고 경기모습이 전달되어지는 스포츠
- 스포츠 이미지 : 인종차별과 스포츠 이미지성차별과 스포츠 이미지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 심리학 : 불안과 운동수행 이론 (욕구, 적정수준, 적정기능구역, 다차원, 반전, 카타스트로피 이론) (0) | 2020.11.05 |
---|---|
스포츠 심리학 : kerr. Jermier 리더십 대용상황과 억제상황 (0) | 2020.11.05 |
운동제어 : 신경망이론 (0) | 2020.11.05 |
운동제어 : 주의집중이론 (0) | 2020.11.05 |
운동생리학 : 카페인 섭취와 운동 효과 (0) | 202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