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노마드의 시대. 학교라는 개념이 점점 사이버 세상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자그마한 사건도 이슈가 되고 한 개인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따돌림 시키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컴퓨터와 인터넷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인 도구이다. 컴퓨터 및 디지털 교육기구를 통해 더 많은 학습도구와 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은 기존의 수업보다 더 다양하고 효과적이며 흥미로운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교과서도 자칫 잘못 활용하였을 경우, 학습의 효과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무질서와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디지털 교과서를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환경과 여건믈 고려하고, 그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하고 적용해나가야 한다.
디지털 기술은 교육기회의 확대와 교육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은 일방적일 수 없다. 첫째, 디지털 기술의 쌍방향 의사소통은 디지털 교육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둘째, 디지털 교육을 통한 지식은 자칫 획일화되고 정형화 될 수 있다. 극도로 복합적인 의미전달이 중요한 인문학적 지식교육의 문제는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셋째, 충분한 학습의욕을 지닌 자발적 수강생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동기 유발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아무리 훌륭한 교육내용이라해도 먹을 수 없는 떡과 같다.
하지만 오히려 학교가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 수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언제까지나 책과 칠판에만 의존할 수는없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식교육의 기능은 디지털 기술에 맡기고 학교는 인성 교육을 전담하는 체제도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 인성교육은 지극히 주관적일 수밖에 없으며 학교의 지나진 인성교육의 강조는 이념적 갈등의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면접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용면접 : 미래교육 (0) | 2020.11.04 |
---|---|
임용면접 : 스마트교육의 장,단점과 문제 해결방안 (0) | 2020.11.04 |
임용면접 : 시범의 유의점 (0) | 2020.11.03 |
임용면접 : 내가 바라는 교사상 (필요한 교사역량) (0) | 2020.11.03 |
임용면접 : 무동기의 원인과 해결방안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