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르몬의 혈장농도 : 1) 분비율, 2) 대사 및 제거율, 3) 운반단백질, 4) 혈장량의 변화
- 수용체의 작용
1. 호르몬의 혈장농도
-
호르몬 반감기 : 호르몬작용의 지속시간. 혈중 호르몬 농도가 최고치로부터 절반수준으로 감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체내 호르몬 제거의 주요기관은 간과 콩팥이다
-
운동중에는 간 및 콩팥으로의 혈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호르몬제거율이 감소한다
-
결합단백질은 순환시 저장장소로 활용되며, 호르몬의 퇴화를 어느정도 억제하고 반감기를 연장시킨다
-
표적세포에 대한 호르몬의 작용은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은 유리호르몬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
호르몬분비율이 같더라도 운동시 탈수로 인해 혈장량이 감소하면 혈중 호르몬농도는 상승하고 표적기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2. 수용체의 작용
-
호르몬 수용체의 수와 수용체 민감도
-
하향조절 : 높은 혈중 호르몬 수준에 만성노출 시 수용체수가 감소되는 경향
-
상향조절 : 낮은 수준에 노출시 수용체수가 증가하는 경향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체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생리학 : 운동대사 정리 (0) | 2020.11.03 |
---|---|
운동 생리학 : 생체에너지학 정리 (0) | 2020.11.03 |
운동생리학 : 피크(Fick) 법칙 (0) | 2020.11.03 |
체육측정평가 : 신뢰도의 의미 (0) | 2020.11.03 |
규준지향검사 : 측정(추정)의 표준오차 (SEM)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