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인원리2

스포츠 심리학 : Kelly 공변원리(귀인원리) 귀인 이론을 확장하여 관찰자 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행위가 낳은 결과에 대한 귀인도 포함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지각자는 결과를 행위자와 공변하는 요인에 귀인한다. 지각자는 결과와의 공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합의성, 일관성, 특이성의 (정보)를 활용한다. 합의성, 일관성, 특이성의 정보를 활용하여 결과와의 공변 여부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인과도식이라고 부르는 지식의 구조 속에 저장되어 있다. 일관성 : 관찰된 행동이 그 사람의 전 행동과 일치하는 정도, 시간 장소에 따른 행위의 안정성. 합의성 : 문제된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서도 관찰되는 정도. 특이성 ; 특정 자극에 관련된 행위인가, 아니면 이와 유사한 자극에 관련된 보편적인 것인가의 여부. 1. 일관성 행위당사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2020. 11. 21.
귀인의 원리 : 절감원리, 공변원리 절감원리 공변원리 1. 절감원리 어떤 행동에 대해 양쪽 모두 귀인할 수 있을 때, 내부귀인을 하는 경향을 대체로 줄어들며 외부귀인을 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것 2. 공변원리 타인의 행동을 귀인할때 일관성, 특이성, 동의성의 법칙을 따른다 일관성 : 다른 상황에서도 그 행동을 하는가? 동의성 : 다른사람도 그 행동을 하는가? 특이성 : 다른대상에게도 그 행동을 하는가? * 귀인? 사회 상황에서의 마음작용 행동의 원인에 대한 추론 2020.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