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스포츠 심리학 : 성취동기와 운동수행, 성취목표성향이론, 성향과 행동적 예상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1. 4. 27.
  • 성취동기 ( f=개인성향 * 환경요인)
  • 성취동기와 운동수행과의 관계
  • 성취목표성향이론 : 성취목표성향
  • 성취목표성향과 행동적 예상

 


1. 성취동기

  • 그 기준이 무엇이든지간에 이를 성취하고자 하는 마음.
  • 도전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로서 학습자가 탁월한 업적을 이루고자 하는 동기이다.
  • 학습자는 학습결과에 따르는 만족감과 즐거움 때문에 더욱 열심히 학습하게 된다.
  • 성취동기가 높으면 학습에서 적절한 목적을 설정하게 되고, 따라서 학습과제 수행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 그러나 성취동기가 낮으면 자신의 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목표를 설정하게 되고 과제수행에서 적극적이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 성취동기는 개인적기준을 성취하려는 것과, 규범적 기준을 성취하려는 것, 상대선수와 직접적인 경쟁을 하는 환경적 기준을 대별된다.
  • 모든 인간 행동은 기본적으로 성취를 위한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취지향적 상황하에서 인간행동을 설명함.
  • 인간의행동(f) = 개인적요인 * 환경적요인
  • 개인적요인은 성공성취동기와 실패회피동기로 나뉜다.
  • 환경적요인은 성공의 유인가치와 성공할 가능성으로 나뉜다.

 

 

 

2. 성취동기와 운동수행과의 관계

  • 수행초기에는 성취동기수준이 높은 사람이 수행의 효율성이 높다.
  • 그러나 연속적 운동수행에서 성취동기수준은 변화한다.
  •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성공 후에 성취동기가 상대적으로 저하되지만, 성취동기가 낮은 사람에게는 성공 후에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 즉,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실패 후 동기가 향상되고, 성취동기가 낮은 사람은 성공하면 동기가 상승한다.
  • 비경쟁상황에서는 성취동기가 낮은 사람이 우월하며, 경쟁상황에서는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이 우월하다.

 

 

3. 성취목표성향이론

  • 개념 : 스포츠상황에서 활동에 대한 목표를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성취행동이 결정될 수 있다.
  • 특정상황에서 개인이 지향하는 성취목표성향은 매우 다양하며, 성취목표성향의 개인차는 성공에 대한 평가아 성취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과제지향성 : 비교의 준거가 자신에게 있다. - 기술의향상, 많은노력의 기울임의 정도 등..
  • 자아지향성 : 비교의 준거가 타인에게 있다. - 능력감이나 성공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남보다 더 잘해야하며, 동일하게 잘 했을 경우 남보다 노력을 덜해야 한다는 식의 생각을 지니고 있다.  타인과의 경쟁에서 승리
  • 1) 과제목표성향 : 기술숙련, 학습의 증진과 연관된 자기-참고적인 목표
  • 2) 자아목표성향 : 타인과의 비교와 연관된 타인-참고적인 목표

 

 

4. 성취목표성향과 행동적 예상

  • 1) 과제목표성향 : 유능감 ↑, ↓ 모두 적응행동
  • 2) 자기목표성향 : 유능감 ↑ 적응? , ↓ 부적응행동

 


  • 과잉정당화 : 외부에서 귀인되는 많은 요인들로 인하여 내적 요인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외적 보상이나 외적 목표 성취를 위하여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도록 유도되면 사람들의 내적동기는 감소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