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력하기 : print( )
- 파이썬 코드 작성방법
* print( )
- print( ) 는 다양한 자료를 콘솔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 숫자의 경우 따옴표 '' 없이 숫자만 입력하고
- 글자의 경우 따옴표 '' 를 사용하거나 쌍따옴표"" 를 앞뒤로 붙여 사용하여 입력합니다
1. 출력하기 : print( ) 함수
- print( ) 함수를 사용하여 인자로 입력된 자료 및 객체 값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 변수명이 list 인 리스트 자료형에서 0번째 요소 출력하기 print(list[0])
- 변수명이 list 인 리스트 자료형에서 1번째 요소 출력하기 print(list[1])
- 변수명이 dict 인 사전자료에서 키가 a인 값 출력하기 print(dict['a'])
- 리스트의 경우 요소는 1번째 요소값은 0번째, 2번째 요소값은 1번째이다.
2. 파이썬 코드 작성방법
- 파이썬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달리 실행코드를 구분해주는 괄호 { } 가 없다.
- 괄호 { } 대신 들여쓰기를 통해 괄호를 대신한다. 스페이스바나 탭으로 들여쓰기할 수 있다.
- 함수이름이나, 클래스 이름 뒤에 이름의 끝을 표시하기 위해 콜론 ; 을 사용한다.
- 콜론 : 이후 실행 코드를 작성한다.
https://py-edu.tistory.com/800
반응형
'★ 프로그래밍 > º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초보 : 007. Python(파이썬) = 와 == 의 차이점 (대입연산자와 등호연산자) (0) | 2022.05.12 |
---|---|
왕초보 : 006. Python(파이썬) 5개 자료형 - 수치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사전자료 (0) | 2022.05.12 |
왕초보 : 004. Python(파이썬) 수치형 자료 이해하기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0) | 2022.05.12 |
왕초보 : 003. Python(파이썬) 변수명 만들고, 변수명 출력하기 (0) | 2022.05.12 |
왕초보 : 002. Python(파이썬) 예약어 확인하기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