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등임용자료/º 임용교육학

교육사회학 : 교육과 평등

by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1.
  • 교육과 사회평등 : 평등화론, 불평등 재생산론, 무관론
  • 교육의 기회균등 : 허용적평등, 보장적평등, 조건의평등 (과정적평등), 결과의평등
  • 교육 불평등의 원인 : 능력주의관점, 문화환경론적 관점, 사회구조론적 관점
  • 교육기회분배수준 측정 : 교육선발지수, 지니계수

1. 교육과 사회평등의 관계

    • 평등화론 : 개인이 받은 교육과 초기 경험은 그의 직업적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은 배경 요인보다 직업적 지위에 관한 교육의 영향이 더 강하다.

    • 불평등재생산론 : 교육은 기존 사회계층 구조에 어떤 변화르르 가져오지 못하고, 재생산하며 때로는 불평등을 더욱 조장한다.

    • 무관론 : 학교는 평등화에 관한 한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개인간 소득의 차이에 대해 배경, 지적 능력, 교육수준, 지업지위를 동원하여도 설명할 수 없다.

 

2. 교육의 기회균등 (기회평등)

  • 허용적평등 : 신분, 성, 종교, 인종등을 이유로 교육의 차별을 받지 않는다.누구나 원하는 만큼, 능력이 미치는 만큼 교육을 받을 수 있다.초등, 중등 1~3의 개방

  • 보장적평등 : 교육받을 기회를 허용하는 것만으로는 평등을 실현할 수 없다.교육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취학을 가로막는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반 장애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 조건의평등 (과정의평등) : 교육과정 운영상의 모든 조건도 평등성을 유지해야 한다.교사의 인사이동을 통한 평등성 유지

  • 결과의평등 : 교육의 목적은 배워야 할 것을 배우는 것이다.교육의 결과가 같아야 한다.보상교육의 등장.역차별을 통한 결과의 평등 유지

  • 사회개혁에 의한 평등 : 교육의 불평등은 사회 불평등의 반영에 불과하다.사회가 평등해지기 전에는 교육의 불평등은 지속될 것이다.자본주의 사회에서 교육의 문제는 그 사회가 지니고 있는 모순의 반영이다.

 

3. 교육 불평등의 원인론

  • 능력주의론적 관점 : 교육 불평등의 원인은 주로 지능이나 적성 등 학생의 타고난 능력이나 성취동기에 기인한다.생득적 요인설현대사회에서의 사회이동은 혈연, 지연, 학연, 배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재능과 능력에 달려있다.

  • 문화환경론적 관점 : 가정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하여 교육불평등이 결정된다.언어를 사용하는 방식, 부모의 교육수준 등에 따른 상대적 결핍이 학교에서 다른 하갱에게 학업성취가 뒤덜어지는 요인이 된다.

  • 사회구조론적 관점 : 불평등은 사회구조적 불평등에서 기인된다.지배계층은 교육을 통하여 생산체계에서 요구하는 유순함과 복종심이 강한 노동력을 전수하고자 한다.교육은 자본주의 사회 계급구조를 강화하고 계층간 불평등을 세대에 전수시킨다.


*  교육기회분배수준 측정

 

(1) 교육선발지수

    • 전체 대학생 가운데 농촌학생이 차지하는 비율

    • 전체학생에 대한 집단별 학생의 구성비의 전체인구에 대한 해당 집단 인구 구성비의 비율로 나타내며

    • 교육기회분배수준을 알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수이다.

    • 교육선발지수 = ( 집단에소속된 학생 / 학생인구 ) * 100 / (집단의인구 / 전체인구 )

 

(2) 지니계수

    • 본래 소득의 분배상황을 말해주는 지수이다.

    • 이것을 교육기회의 분배상황 측정에 빌려와 집단별 선발지수를 모아서 하나의 종합지수로 표시하였다.

    • 로렌츠 곡선을 기초로 하여 1로 갈수록 분배의 불평등정도는 더욱 커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