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실도 관점
- 상호작용적 관점
- 생성적 관점
1.충실도관점
-
원래 계획했던 대로 교육과정이 이행되었는가, 또한 그러한 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운 개발자의 의도대로 충실하게 교육과정을 이행하여야 하는 존재로 본다.
-
교육과정 실행모형 (CBAM)
-
교사들의 관심정도, 실행수준, 실행형태를 파악하여 그것을 기초로 교사들에게 어떤 연수를 제공할지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다.
-
교사의 교육과정 이행 능력을 불신할 경우 너무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교사를 배제한 교육과정으오 변모된다.
2. 상호적응적 관점
-
계획된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고 조정되는 과정에 관심을 가진다.
-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과정에 대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
하지만 충실도나 생성 관점에 비해 그 특성이 명확하지 않다.
3. 생성적 관점
-
외부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교육 경험을 계획하는 기반으로 간주한다.
-
실제로 존재하는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드는 교육 경험이다.
-
학급에서 만들어지는 교육경험은 무엇이며. 교사와 학생은 그것을 어떻게 구성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외부요인이 교실에서 교육 경험을 구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둔다.
반응형
'★ 중등임용자료 > º 임용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wey 의도에 따른 교육의 유형 (형식적교육, 비형식적교육, 무형식적 교육) (0) | 2020.11.09 |
---|---|
교육학 : 신뢰도, 객관도 향상방안 (0) | 2020.11.08 |
교수학습 : 교수학습 지도 형태 (0) | 2020.11.08 |
교육학 : 딕(Dick)과 케리(Carey) 수업설계모형의 10단계 (0) | 2020.11.07 |
교육학 : 계통학습 (0) | 2020.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