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의 출현 배경
- 정형/반정형/비정형 데이터
- 빅데이터
1. 빅데이터의 출현 배경
1) 센서데이터의 폭증
- 시간, 공간, 장소의 제약 없이 개개인의 모바일 기기로 수많은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됨
- 자기 행동에 대한 엄청난 데이터 흔적을 남기게 됨
2) 데이터 저장비용의 하락
- 1GB의 저장비용이 1980년대 10억에서 2022년 10원 이하로 하락
3) 분산처리기술의 등장으로 인한 데이터 처리기술의 발달
- 초대형 컴퓨터가 하던 일을 저가형 PC 여러대를 병렬 연결하여 처리 가능
- 처리시간과 분석시간을 단축시킴
2. 데이터의 종류
1) 정형 데이터 : 바로 통계분석이 가능한 정리된(행렬로 정리된 표, 등) 데이터
2) 반정형 데이터 : 데이터 구조가 일관성 없는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 (html, 웹로그, 센서 데이터 등)
3) 비정형 데이터 : 형태 자체가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정형 데이터로 변환해야 함 (음성, 이미지, 동영상, GPS 등)
3. 빅데이터
-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로는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
- 주로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
반응형
'★ 프로그래밍 > º 인공지능융합교육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교육 :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0) | 2022.10.23 |
---|---|
인공지능교육 : 인공지능 사고와 관련 사고력 (0) | 2022.10.23 |
경인교대 과제 : 머신러닝 - 머신러닝 적용 교육 연구 사례 논문 요약 발표 (MP4) (0) | 2022.09.01 |
경인교대 과제 : 인공지능 교육통계연구 - 연구 주제 정하여 데이터 수집하고 통계 분석 수행 및 정리 발표하기 (PDF) (0) | 2022.08.24 |
경인교대 과제 : 머신러닝 - 머신러닝 적용 교육 연구 사례 요약 발표 (PDF)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