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등임용자료/º 임용체육학

체육측정평가 : 규준지향검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부하는 체육쌤 2020. 11. 2. 20:46

* 한 평가도구가 어떤 목적으로 쓰이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신뢰도가 있어야 한다!!!!

  •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육학) : 검사 시행의 간격, 검사도구의 적합성 여부, 검사의 특성, 검사의 길이, 피험자의 준비정도, 피험자 집단의 동질성 여부
  •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교육학) : 시험문항과 답지 수가 많은 경우, 학습내용 골고루 출제, 문항의 적절한 난이도와 변별력

(1) 검사시행의 간격 - 하루에

  • 검사는 하루에 동일한 검사를 여러번 실시하는 것이 좋다. 여러날 시행되었을 때 보다 변동될 수 있는 요인이 적기 때문이다.

 

(2)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할 경우에는 어떤 방법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신뢰도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 그 이유는 분산분석의 결과에서 어떤 성분을 오차점수분산으로 판단했는가에 따라 신뢰도계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3) 피험자 집단의 동질성여부

  • 피험자집단이 동질적인 경우 신뢰도계수가 낮아질 수 있다.

  • 하지만 피험자집단이 너무 이질적인경우에는 피험자들의 능력에 큰 차이를 보여 능력의 범위가 넓은 집단에서 검사를 시행하여 얻어진 검사 점수의 신뢰도는 과대추정될 것이다.

  • 피험자 집단이 이질적이라면,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추정할 때 피험자 간 평균제곱합이 커지게 되는데, 이 경우 피험자내 평균제곱합이나 상호작용 평균제곱합이 일정하다면 신뢰도 계수는 커지게 된다.

  • 따라서 능력범위가 넓은 집단에게 검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동일 학년이나 동일 수준으로 구분하여 검사를 시행하고 신뢰도를 추정해야 인위적으로 신뢰도가 팽창하지 않을 것이다.

 

(4) 검사의 특성

  • 일반적으로 체력검사는 운동기능검사보다 높은 신뢰도를 나타낸다.

  • 운동기능검사는 정확성이 요구되는데, 정확성을 요구하는 검사는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피험자의 능력 외에도 피험자가 자신의 심리적인 상태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반복된 검사에서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 간단한가 복잡한가에 따라 신뢰도계수는 달라질 수 있다. 단순한 검사점수의 신뢰도 계수가 더 높게 나타난다. 때문에 복잡한 운동기능검사보다 단순한 체력기능검사의 신뢰도계수가 더 높다.

  • 교사나 지도자는 이 같은 것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5) 검사의 길이

  • 일반적으로 검사에 포함된 문항의 수, 검사의 시행횟수가 많을수록 검사의 신뢰도 계수가 커진다.

 

(6) 피험자의 준비 정도

  • 피험자들이 생리적, 심리적으로 검사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 검사시행 전 피험자는 검사 방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적어도 하루 전에는 검사에 대한 경험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피험자가 검사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가장 좋은 검사 점수를 얻기 위해 노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 이외에도 충분한 준비운동, 적당한 피험자의 수 (30~50명권장)도 영향을 미친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란, '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 라는 의미이지, '사용한 검사도구 자체의 신뢰도' 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검사라도 누가, 어떻게, 어떤 대상에게 검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느냐에 따라 신뢰도계수는 달라진다. 따라서, 체육교사나 연구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검사도구의 신뢰도가 선행연구에서 이미 밝혀졌다 하더라도, 과거의 신뢰도 계수를 그대로 보고하는 것 보다는 현재 연구자가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를 추정하여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