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subel 설명식 수업이론
- 포섭
- 학습의 과정
- 학습의 주요 원리
- 인지구조와 인지과정
- 명제의 재생, 파지, 적용
-
설명식 수업방식 (유의미 언어학습)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독립변인 ; 유의미 학습과제 제시
-
매개변인 ; 학습자의 관련정착지식 (동화와 포섭)
-
종속변인 ; 유의미학습 (명제의 재생, 파지, 적용)
-
-
유의미한 아이디어나 과제가 포섭의 과정 (기존의 인지구조소으로 동화되는 과정) 에 의해 유의미한 학습이 일어난다.
-
학습현장에서 학습하는 인간의 내적과정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학습을 통해서 개념, 명제, 정보등의 학습 또는 재생, 파지, 전이의 산물을 얻을 수 있다.
1. 포섭
-
명제나 아이디어가 학습자의 포괄적인 인지구조 속으로 동화되는 과정
-
종속적 포섭 (파생적포섭, 상관적포섭), 상위적 포섭, 병위적 동화과정이 있다
-
상위포섭 : 새롭게 획득된 과제가 포괄성이 높아, 기존의 포괄성이 낮은 관련정착지식이 새롭게 획득된 과제게 동화되는 것
-
종속포섭 : 새롭게 획득된 과제가 포괄성이 낮아, 기존위 포괄성이 높은 관련정착지식에 인지구조 속으로 동화되는 것
파생적포섭 : 관련정착의미를 보다 명확히 보강해 주는 기능을 하는 포섭, 관련정착의미의 한 예에 불과한것상관적포섭 : 인지구조에 있는 상위개념을 통해서 하위개념을 포섭하는 것.
-
병위적포섭 : 포괄성 수준이 비슷한 새로운 의미나 관련정착의미가 상호작용을 하여 생긴 의미.
2. 학습의 과정
-
실사성, 구속성이 있는 과제가 논리적 유의미가를 지닌 과제이다
-
실사성 : 명제를 어떻게 표현하더라도, 그 명제의 의미가 변하지 않는 명제를 다루는 것.
-
구속성 : 임의적으로 맺어진 관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나의 습관으로 굳어지면 그렇게 맺어진 관계를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없게 되는 성질.
-
-
인지구조는 논리적 유의미학습과제를 포섭하는 매개기능을 한다.
-
인지구조가 학습자에게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마치 무의미한 기계적 학습이 되어 버린다.
-
새로이 접촉하는 학습과제를 어떤 형식으로든 포섭할 수 있는 인지구조가 학습자에게 있으면 유의미학습을 촉진할 잠재력을 지닌다.
3. 주요수업원리
1) 선행조직자의 원리
-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의 정도가 높은 자료를 새로운 학습과제 제시에 앞서 제시하는 자료
2) 점진적분화의 원리
-
학습내용 중 가장 일반적, 포괄적 의미를 먼저 제시하고, 점차 세분,특수한 의미로 분화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3) 선행학습 요약.정리의 원리
- 현재까지 학습해 온 내용을 요약,정리해주면 학습은 촉진된다.